콘텐츠목차

「만덕사와 덕천내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543
한자 萬德寺-
영어의미역 Mandeoksa Temple and the Deokcheon Scenar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집필자 김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만덕사 주지|도사
모티프유형 명당 파손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 2월 23일 - 『부산 북구 향토지』에 「만덕사와 덕천내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
관련 지명 만덕사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서 만덕사와 덕천내들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만덕사와 덕천내들」은 손님이 많아 고충을 겪던 만덕사 주지가 용을산 너머로 흐르는 시냇물을 막아 명당의 기운을 훼손하여 손님이 끊어지고 사찰이 망하게 되었다는 풍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1년 2월 23일 부산직할시 북구청·부산낙동향토문화원에서 간행한 『부산 북구 향토지』「만덕사와 덕천내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제보자와 제보 시기는 밝히지 않아 알 수 없다.

[내용]

만덕사는 고려 시대에 창건된 큰 절로, 산수가 뛰어나 승려를 비롯한 많은 손님들이 찾아왔다. 만덕사를 찾아오는 손님이 얼마나 많은지 끼니때마다 쌀뜨물이 덕천천을 흘러내려 낙동강까지 하얗게 물들었다고 한다. 많은 손님 때문에 고충을 겪고 있던 만덕사 주지는 어느 날 절을 찾아온 도사에게 절에 손님이 적어지게 하는 방법을 물었다. 그러자 도사는 “만덕사의 뒤쪽 산줄기인 용을산 너머로 흐르는 시냇물을 막아 절 옆에 있는 덕천내들[덕천천 상류에 개간되어 있던 밭지대를 말함]로 흐르게 하면 절에 식객이 끊어질 것이오.”라고 했다.

주지가 그 도사의 말대로 하였더니 그 후 만덕사를 찾아오던 손님이 끊어지고 절이 망했다고 한다. 덕천천 상류에 단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만덕사 뒤 용을산 너머로 흐르던 물을 막은 흔적이라고 한다. 그리고 지금도 만덕사 터 금당지 옆쪽으로 소량의 물이 흘러내리는 개울이 있는데, 그 물길을 따라 농사를 짓는 논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만덕사와 덕천내들」의 주요 모티프는 ‘명당 파손’이다. 「만덕사와 덕천내들」은 손님이 오지 못하게 하려고 명당의 기가 흐르는 용을산 너머로 흐르는 시냇물을 막고 덕천내들로 흐르게 하여 손님이 끊어지고 사찰이 망하게 되었다는 풍수 설화 중 명당 파손담의 한 예이다. 명당 파손 모티프의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파손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서 전해지는 「만덕사와 덕천내들」 이야기에서는 사찰의 주지가 손님이 적어지게 하려고 명당의 기가 흐르는 지맥을 바꾸었다가 사찰이 망하게 된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아직까지 그 흔적이 남아 있는 만덕사 터와 덕천천 상류의 단구, 계단식 논 등을 증거로 내세워 진실성을 확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