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534 |
---|---|
영어의미역 | Song of Magu Grandmother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
집필자 | 신주영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서 마구할미[마고할미]를 소재로 부르는 비기능요.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의 404~405쪽에 「마구할미 노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9년 10월 24일 김상용·박정민 외 2명이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안평 노인정에서 주민 송말순[여, 85]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마구할미 노래」는 혼자서 읊으며 부르는 음영(吟詠) 민요이다. 4·4조를 기본 율격으로 하고 있다. 가사는 절경과 고사, 설화 등을 나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적벽강 춘향호는/ 효자봉이 상석이요/ 수진남청 붉은주는/ 동정호가 상석이요/ 십년처소 풍지파는/ 소상강이 상석이요/ 천태산 마구할매/ 상전벽해 구경이라/ 구경처가 상석이요/ 천하문장 초패왕은/ 오강올라 상석이요.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 전통 시가 문학에서는 중국의 고사나 지명을 인용하는 일이 잦았다. 중화 문화를 보편의 문화로 받아들인 중세에는 중국 고사의 인용이 중심의 문화와 소통하고 교류하는 한 방편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민요에도 영향을 끼쳐 민요 가사에서도 중국의 고사나 지명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의와 평가]
「마구할미 노래」에는 천태산 마고할미가 등장하는데, 마고할미와 관련된 설화나 노래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마고할매는 우리 민족의 여신(女神)으로서 창조신이며 지모신(地母神)이다. 「마구할미 노래」의 가사에서는 마고할미가 초패왕과 같은 역사적 인물처럼 천하를 구경하러 다니는데, 구경하는 경치가 “상전벽해”라고 하여 창조신으로서 마고할미의 면모를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