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512 |
---|---|
한자 | 東平顯城-出土- |
영어의미역 | Polished Stone Ax Excavated from Dongpyeonghyeonseong Fortress |
이칭/별칭 | 동평성지 출토 마제 석부[東平顯城 出土磨製石斧]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동진숙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동평현성 터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의 간 돌도끼.
[개설]
동평현성 터 출토 간 돌도끼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 1994년 12월에 발굴 조사되었으며, 현재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양쪽으로 날을 세웠는데[兩刃], 양날 돌도끼[石斧]는 단면 형태에 따라 방형계(方形系)와 원형계(圓形系)로 구분된다.
[형태]
형태는 긴 원통형으로, 날 부분이 약간 넓다. 양쪽으로 날을 세우기 위해 떼어 낸 흔적은 있으나 갈지는 않았다. 다른 부분은 모두 마연(磨硏)[연마]하였다.
[특징]
동평현성 터 출토 간 돌도끼는 긴 원통형의 양인 돌도끼로서 날 부분이 약간 넓은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에서 확인된 양인 돌도끼는 동평현성 터와 부산진구 양정동의 채집품이 있는데, 동평현성 터 출토 간 돌도끼는 몸체의 중앙부가 약간 볼록한 형태로 두 돌도끼의 형태에 차이가 있어 형태 비교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