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남구의 민속과 문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330
한자 南區-民俗-文化
영어의미역 Folklore and Culture of Nam-gu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편자 부산남구민속회
간행자 부산남구민속회
표제 남구의 민속과 문화
간행 시기/일시 2001년 10월 8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청 시사편찬실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지도보기
간행처 부산남구민속회 - 부산광역시 남구

[정의]

부산남구민속회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지역의 민속과 문화를 정리하여 2001년 발행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남구민속회는 남구 지역의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활동하는 교육자들이 만든 모임이다. 이들은 먼저 지역의 역사부터 알아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남구 지역에 묻혀 있는 역사와 민속자료를 조사·발굴하여 2001년 10월 8일 『남구의 민속과 문화』를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부산광역시청 시사 편찬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가로 20㎝, 세로 26㎝ 크기로, 총 632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남구의 민속과 문화』는 총 1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에는 남구 지역에 분포하는 민속의 조사 과정 및 방법, 남구의 변천 과정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제2편부터 제7편까지는 남구 지역 각 동에 대한 변천사와 생활사, 지명 유래, 전승 문화유산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제8편 남구의 바다와 삶에는 남구 해안과 어업 변화, 어촌계의 변천과 어민 생활사를 다루고, 제9편 오륙도와 UN 기념 공원에서는 오륙도의 유래와 특성, 형성 과정과 지질 변화를 비롯하여 UN 기념 공원의 설립 배경과 관리 및 현황, 오륙도 축제와 UN 평화 대축전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제10편인 부록에는 남구 지역 농요와 역사 유적에 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남구 지역 교육 현장에서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자신들이 사는 고장의 문화와 민속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직접 현장을 찾아 발굴 조사·채록하여 발간함으로써 교육 자료로서의 활용도는 물론,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갖게 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