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꼬불꼬불 고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320
영어의미역 Zigzag Hill
이칭/별칭 「숫자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
집필자 홍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구분 언어 유희요
형식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안희순[여, 72]
채록 시기/일시 1999년 10월 23일 - 오세길·김창일·김병찬·김지혁·김경희·신자옥 등이 안희순[여, 72]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2월 28일 - 류종목 저,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수록
채록지 연지 경로당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에서 숫자와 연상 단어를 연결하여 부르는 유희요.

[개설]

「꼬불꼬불 고개」는 하나부터 열까지 순서대로 숫자와 관련된 단어를 활용하여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다. 이를 「숫자 노래」라고도 한다. 숫자가 시작되는 문구를 연결하여 말놀이와 말장난으로 흥미를 끌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10월 23일 오세길·김창일·김병찬·김지혁·김경희·신자옥 등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안희순[여, 72]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꼬불꼬불 고개」는 독창으로 불린다. 하나에서 열까지의 숫자를 늘어놓고, 그 숫자와 의미의 연관성은 없으나 유사한 발음으로 시작되는 단어를 연결한 언어유희(言語遊戱)의 기법과 대구 형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노래이다.

[내용]

고불꼬불 첫째고개 첫사람이 넘던 고개/ 하나하면 할머니가 집방아찐다고 넘던고개/ 둘하면 두부장사 두부찐다고 넘던고개/ 세분하면 새사람이 새신신고 넘던고개/ 네분하면 넷가에서 빨래씻다가 넘던고개/ 다섯하면 다람쥐가 알밤까다가 넘던고개/ 여섯하면 엿장사가 가새로침서 넘던고개/ 일곱하면 일본놈이 총칼메고서 넘던고개/ 여덟하면 연어새끼 고향찾아서 넘던고개/ 아홉하면 안사람이 징을질한다고 넘던고개/ 열하면 열녀춘향 이도령찾아서 넘던고개.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꼬불꼬불 고개」는 부산 지역에서 민중들이 유흥을 목적으로 부른 노래이다. 이와 같은 숫자 노래는 여러 각편(各篇)이 있는데, 「꼬불꼬불 고개」에는 ‘일본 놈이 총칼 메고서’라는 대목이 있어 형성 시기를 대략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현황]

「꼬불꼬불 고개」의 숫자 유희는 현대 어린이들의 동요로 전승되어 「숫자 노래」라는 명칭으로 유아의 수(數) 학습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의의와 평가]

「꼬불꼬불 고개」는 숫자와 연상 단어를 연결하여 재미를 추구한 노래로서, 시대 상황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