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318 |
---|---|
영어의미역 | Tail-picking Gam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
집필자 | 홍혜정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재송 마을에서 아이들이 꼬리따기를 할 때 부르는 유희요.
[개설]
「꼬리따기」는 아이들이 꼬리따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자 동요(童謠)이다. 언어 유희요는 노랫말의 언어 자체가 놀이의 대상이 되는 노래를 말한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실려 있다. 이는 공저자들이 1996년 7월 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재송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성차순[여, 76]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꼬리따기」는 연의 구분 없이 4음보 1행으로 이루어진다. 독창 혹은 제창으로 불린다.
[내용]
친다친다 친다친다 한강에 그물친다/ 고기잡아 회치고 초치고 장치고/ 목구영에는 들치고 밑구영에는 내치고/ 영감은 할마이치고 할마이는 메느리치고/ 메느리는 개치고 개는 꼬리치고/ 잔치집에 치알치고 소온골목에 개알친다/ 친다친다 다쳤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꼬리따기는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선 대열의 맨 끝 사람을 술래나 상대편이 떼어 내는 놀이이다. 「꼬리따기」는 대부분 아이들의 동요로 불리기 때문에 짧고 간단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현황]
요즘은 아이들이 한데 모여 꼬리따기를 비롯하여 숨바꼭질, 고무줄놀이, 두꺼비집 만들기, 말 잇기 놀이 등을 하는 모습을 보기가 어렵다. 유치원 등에서 교육적 차원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일부 있다.
[의의와 평가]
「꼬리따기」는 ‘친다’라는 말을 여러 상황을 엮고 이음으로써 웃음과 재미를 추구하고 있는데, 옛날 어린이들의 놀이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