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장군지』[상,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280
한자 機張郡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편자 기장군지편찬위원회
간행자 기장군지편찬위원회
표제 기장군지
간행 시기/일시 2001년 9월 30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560지도보기
간행처 기장군지편찬위원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2001년 발행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광역시 기장군은 1914년 동래군에 편입되었다가 이후 양산군에 소속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80여 년 만에 기장군으로 복군되었다. 그동안 기장군의 지역사는 민간단체나 문화원 등을 통하여 단편적으로 자료가 정리되어 왔으나, 복군을 계기로 각계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장 지역사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이에 기장군에서는 기장군지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 22명을 집필 위원으로 참여시켜 약 1년여 동안 『기장군지(機張郡誌)』 편찬 작업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2001년 9월 30일 상·하 두 권으로 간행하게 되었다.

[서지적 상황]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자료실과 부산광역시청 시정 정보 자료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가로 20㎝, 세로 26㎝ 크기로, 상권 870쪽, 하권 872쪽의 총 1,742쪽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상권은 총 7편으로, 그중 제1편 자연·인문 환경에서는 자연 환경, 지질·지진을, 제2편 역사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를 소개하고 있다. 제3편 유적·관광에서는 성곽, 금석문, 고분군 등과 관광 산업·관광 자원을 소개하고, 제4편 교육·체육에서는 기장 지역 교육과 체육 변천사를 소개하고 있다. 제5편 지역 문화에서는 기장의 문화 현황과 유배 문학, 「차성가(車城歌)」를 소개하고, 제6편 종교·민간 신앙·풍수에서는 종교의 현황과 민간 신앙, 기장 지역 풍수를 소개하고 있다. 제7편 성씨·인물에서는 기장 지역 성씨 분포와 문중, 임진왜란 공신, 항일 운동, 유림, 청백 현감, 효열 등을 소개하고 있다.

하권은 총 8편으로, 제8편 지명 유래에서는 읍·면·리의 지명 유래를, 제9편 민속에서는 의식주와 통과 의례·세시 풍속 등을, 제10편 구비 문학에서는 기장 지역 전래 민요, 설화, 방언 등을 소개하고 있다. 제11편 선거·행정에서는 역대 각종 선거 현황과 기장군의 행정 변천을, 제12편 산업·전력·통신에서는 농업·임업·축산업과 수산업, 상업 및 서비스업, 전력과 통신 변천사를 소개하고 있다. 제14편 복지·보건에서는 국민운동과 사회 복지, 기장군의 보건과 의료 기관 등을, 제15편 도시 계획·환경에서는 도시 계획, 공원 녹지 계획, 도시 개발, 환경오염 등을 소개하고 있다. 부록에서는 지역 단체장의 명단으로 역대 기장 현감, 기장[부] 군수, 군 의원 및 기장 지역 각 사회단체 임원 명단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기장군지』는 기장 지역의 전통을 지키고 올바른 역사적 사실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특히 80여 년 만에 복군되어 본격적인 지방 자치 시대를 맞아 지역 문화와 역사에 대한 높아진 관심에 부응하면서 고장의 전통과 맥을 잇는 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