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 기장군 향토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169
한자 舊機張郡鄕土誌
영어의미역 Rural Area Record of Old Gijang-gun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저자 박연수(朴連洙)
간행자 재부기장군향인회
표제 구 기장군 향토지
간행 시기/일시 1992년 12월 30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560지도보기
간행처 재부기장군향인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1992년 발행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광역시 기장군은 1914년 동래군에 편입되었다가 이후 양산군에 소속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80여 년 만에 기장군으로 복군되었다. 『구 기장군 향토지(舊機張郡鄕土誌)』기장군의 복군 전에 간행된 것으로, 따라서 서명을 ‘구 기장군 향토지’로 하였다. 저자는 박연수(朴連洙)이며, 간행자인 재부기장군향인회는 기장군의 발전을 위하여 1956년 7월 22일 창립한 단체로, 총회에서 향토지 발간이 계획되어 1992년 12월 30일 간행을 하였다.

[서지적 상황]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자료실, 기장문화원, 부산광역시청 시정 정보 자료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가로 20㎝, 세로 26㎝ 크기로, 총 748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기장군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각 분야별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기장의 지역사가 정리되었고, 문헌상에 나타난 기장의 유래를 밝혔으며, 1889년에 나온 『기장읍지(機張邑誌)』 원문도 수록하였다. 이어서 기장항교와 기장 지역 서재, 동제와 향가(鄕歌), 임진왜란 시 기장 출신 의병들의 활약상, 역원과 봉수, 산천과 포구, 고적과 명승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서술하였다. 그 외에 효열과 전설·설화, 기장 지역의 3·1 운동, 민속과 민요, 「차성가(車城歌)」의 원문과 번역본, 사투리, 지명과 읍·면·리의 유래 등도 수록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록에는 재부기장군향인회 회칙과 연혁, 역대 임원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민간단체인 재부기장군향인회에서 기장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친 내용을 정리하여 자료집으로 간행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