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부산지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107
한자 朝鮮總督府穀物檢査所釜山支部
영어의미역 Busan Branch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Grain Inspection Center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곡물 검사 기관
설립 시기/일시 1917년 4월연표보기 - 경상남도 미곡대두검사소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34년 - 경상남도 미곡대두검사소를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서 대청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34년 - 경상남도 곡물검사소를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서 동광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22년연표보기 - 경상남도 미곡대두검사소에서 경상남도 곡물검사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 경상남도 곡물검사소에서 조선총독부곡물검사소 부산지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6년연표보기 -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부산지소에서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부산지부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 있었던 조선총독부 소속 곡물 검사 기관.

[설립 목적]

1876년 개항 이후 일본으로의 쌀 수출이 확대되는 가운데 일찍부터 수출하는 미곡을 검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1909년 목포상업회의소가 독자적으로 수출하는 현미에 대한 검사를 시작한 데에 이어 조선총독부에서도 1913년 6월 각 도(道)의 장관에게 통첩하여 지방 행정 기관의 감독 하에 상업회의소 또는 곡물동업조합이 수이출(輸移出)하는 미곡을 검사하도록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과 부산, 진남포의 3개 상업회의소와 평택, 대구, 김천, 왜관, 경산, 청도의 곡물동업조합이 현미를 검사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조선총독부의 미곡 검사는 일본으로의 미곡 수출이 확대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변천]

부산에서는 1913년 10월 부산미곡상조합의 조합 사업으로 수이출 미곡에 대해 미곡검사가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1915 「미곡 검사 규칙」에 의해 도령(道令)으로 부산미곡개량조합에 곡물 검사를 위탁하기 시작했는데, 1915년 11월에는 대두 검사를 병행해서 시행하였다. 1917년 4월 검사 규칙의 개정으로 시설을 도영(道營)으로 이전, 지금의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경상남도 미곡대두검사소를 설치하였다. 이후 지금의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로 이전, 도내 주요 집산지에 출장소를 두었다. 1917년 9월 부령(府令)으로 검사 규칙이 개정되면서 검사 지정지가 증가되었고, 1922년 8월에는 경상남도 곡물검사소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검사가 통일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검사가 끝난 미곡을 가지고 부정행위를 하거나 수송하다가 미곡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되어도 별다른 조치를 취할 수 없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 시장에서는 조선 쌀의 상품 가치가 떨어지고 있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1932년 9월 24일 「조선 곡물 검사령」을 제정하여 1932년 10월부터 국영 검사를 실시했는데, 이로써 경상남도 곡물검사소는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부산지소로 개칭되었다. 1934년에는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5가로 이전했다가 1936년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부산지부로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선총독부 곡물검사소 부산지부는 수이출하는 곡물에 대한 검사를 주로 하였다. 검사는 건조의 정도와 돌, 나락, 부서진 쌀알, 기타 협잡물의 혼입 정도, 포장과 중량의 적당성 여부에 대한 심사였다. 검사 결과 검사 표준에 합격하지 못한 곡물은 수출이 제한되기도 하였다. 구포와 동래에 출장소를 두고 있었다.

[의의와 평가]

일제 강점기 부산항은 곡물의 주요 수출항이었다. 곡물검사소는 일본으로의 쌀 수출과 관계된 기관으로, 곡물검사소의 운영과 이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정책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당시 일본으로의 쌀 수출 실상과 그것이 조선의 농업과 상업, 무역 등 경제계에 미친 영향을 알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