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344
한자 朝島-
영어의미역 Jodo shell Mound
이칭/별칭 아치섬 패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
시대 선사/석기,고대/초기 국가 시대,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이동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기념비
소유자 비|기념비
관리자 비|기념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시굴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3년 8월연표보기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실시
훼손 시기/일시 1973년 9월연표보기 - 국립해양대학교 건립으로 유적 훼손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해양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신석기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의 조개더미 유적.

[개설]

1969년 임돈(林墩) 전 해양대학교 교수가 처음 확인한 이후, 1970년 동아대학교 박물관이 시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신석기 시대의 빗살무늬 토기와 민무늬 토기, 삼국 시대의 토기편들이 출토되었다. 1973년 8월 국립해양대학교 신축 공사 과정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이 15일간 정식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의 발굴 조사 이후 국립해양대학교를 신축하는 과정에서 서남쪽 일대에서도 다량의 신석기 시대 토기들이 출토되면서 학계에 보고되었다.

[위치]

조도 조개더미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조도(朝島)[아치섬]의 서쪽 해안가에 위치한다.

[유물]

서로 다른 성격의 조개더미가 2개 지역에서 확인되었는데, Ⅰ지구는 청동기 시대 및 삼한·삼국 시대에 해당하는 것이며, Ⅱ지구는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다. Ⅰ지구에서는 바깥으로부터 반관통된 청동기 시대의 구멍무늬 토기[공열문 토기(孔列文土器)]와 함께 간 돌검, 간 돌칼, 석촉, 어망추 등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영도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다. 이와 함께 초기 철기 시대의 각종 유물들도 출토되었는데, 이 시기의 특징적인 원형 점토대 토기와 삼각형 점토대 토기, 굽다리 접시 토기[두형 토기(豆形土器)] 등이다.

또한 인골과 함께 철검과 철촉 및 골촉, 그리고 경식(頸飾)으로 사용된 수정옥 2점과 관옥(管玉)[대롱 모양] 7점이 인골의 머리와 목 부분에서 출토되었다. 이 중 관옥의 경우 보고서에서는 벽옥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단면 형태상 유리 제품으로 판단된다. 한반도에서 유리 제품은 초기 철기 시대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천 늑도 유적, 완주 갈동 유적 등지에서 유리제 소옥(小玉)들이 확인되지만, 관옥형의 유리 제품은 부여 합송리 유적, 당진 소소리 유적 등 충청 지역 일부에서 확인되며 영남 지역에서는 처음 확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일본 야요이 시대[미생 시대(彌生時代)]의 토기들과 삼국 시대의 하지끼[수혜기(須惠器)]류가 확인되었다.

Ⅱ지구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덧무늬 토기를 비롯하여 전기 단계의 눌러찍기 무늬 토기, 지두문(指頭紋)[도자기에 잿물을 덮고 붓 대신에 손가락 끝으로 그린 무늬] 토기(指頭文土器), 그리고 중기 단계의 굵은 금 무늬 토기[태선 침선문 토기(太線沈線文土器)]를 비롯하여, 조개 팔찌, 어망추, 지석, 흑요석편 등 각종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황]

국립해양대학교 건립 과정에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개더미의 범위가 좁고 토적 상태가 불량하여 구체적인 층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때문에 층위에 따른 유물의 성격 구분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조도 조개더미동삼동 패총 맞은편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 유물 뿐만 아니라 청동기 시대와 삼한·삼국 시대의 각종 유물들이 확인되면서 동삼동 시기 이후 해양을 바탕으로 생활유적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이 증명되는 유적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부산 동삼동 패총을 중심으로 조도 조개더미, 영선동 조개더미 등 여러 시기의 유적들이 다양하게 형성된 영도 지역은 선사인들의 생활에 적합한 입지와 환경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고*** 한자명 표기

조개더미 = 貝塚
  • 답변
  • 디지털부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지털부산문화대전은 한자 표기 시 반드시 한글과 1대 1로 일치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한자를 뜻으로 의역하여 표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고학자님의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06.0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