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260
한자 金永韶
영어음역 Gim Yeongso
이칭/별칭 도생(道生)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49번길 25[신창동 1가 2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사
성별
본관 경주(慶州)
대표경력 춘해병원 원장
출생 시기/일시 1913년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2년 - 비안공립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28년 - 대구고등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31년 - 동지사중학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34년 - 세브란스의과전문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42년 - 나고야제국대학 의학부 연구원에 임명
수학 시기/일시 1951년 - 시카고 일리노이대학교 신경외과 대학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39년 - 영덕의원 개업
활동 시기/일시 1945년 4월 - 세브란스의과전문학교 전임 강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5년 11월 - 대구의과대학 조교수, 부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7년 - 춘해외과 개설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범태평양외과학회 부회장, 부산시의사회 회장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개교준비위원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55년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5년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8년 - 대학의학협회 상임이사, 대학외과학회 부회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68년 3월 - 춘해간호학교 초대 이사장에 선임
몰년 시기/일시 1992년 11월 9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가 23
학교|수학지 비안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
학교|수학지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학교|수학지 동지사 중학 - 일본 교토[東京]
학교|수학지 세브란스의과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나고야제국대학 - 일본 나고야[名古屋]
학교|수학지 일리노이대학 - 미국 시카고
활동지 영덕의원 - 경상북도 영덕군
활동지 세브란스의과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활동지 대구의과대학 - 대구광역시
활동지 범태평양외과학회 - 미국 하와이
활동지 부산시의사회 - 부산광역시
활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지도보기
활동지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활동지 대학의학협회 - 서울특별시
활동지 대한외과학회 - 서울특별시
활동지 춘해간호대학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의사이자 춘해병원 설립자.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도생(道生). 1913년 3월 9일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서 태어났다.

[활동 사항]

김영소(金永韶)는 1922년~1928년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의 비안공립보통학교를 다녔고, 1928년~1931년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에서 공부하였다. 대구고보 재학 중 교내에서 일어난 항일 동맹휴학의 주모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되어 퇴학당한 후 일본 교토[京都]로 유학을 떠나 1932~1933년 동지사중학교(同志社中學校)를 수료하고, 1934년~1938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하였다. 1939년 대구로 와서 동산기독의원[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의 수련의로 지내다가, 1939년 11월 경상북도 영덕읍에서 영덕의원을 개설하여 1942년 8월까지 지냈다.

1942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간 김영소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나고야제국대학[名古屋帝國大學] 의학부 사이또[齊藤眞] 외과학회 교실의 연구원을 지내면서 1946년 『인체흉부교감신경절제술의 혈당영향 및 제 약물 작용』이란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1945년 4월부터 11월까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외과 전임 강사로 근무하다가 대구로 돌아왔다. 이때부터 1947년 4월까지 김영소는 대구의과대학[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외과 조교수 및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부산으로 이주하여 1947년 중구 신창동 1가 23번지에 춘해외과를 개설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춘해병원의 시초이다.

이 무렵 김영소는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 본부를 둔 범태평양외과학회에 회원으로 연구 활동을 전개하며, 여러 차례[1951년, 1954년, 1957년] 학술 발표에 참여하고 1954~1957년에는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이런 도중에 1951년~1953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대학원에서 수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기반으로 김영소는 1954년부터 1960년까지 부산시 의사회 회장을 3선 연임하면서, 하와이 부인구제회의 지원으로 부산시 의사회 회관을 건립하는 역량을 보여 주었다.

이외에도 김영소는 1954년~1955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준비 위원, 1955년~1957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교수[신경해부학], 1955년~1982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 교수[신경외과학], 1958년~1960년 대학의학협회 상임이사, 대학외과학회 부회장, 1962-1963년 부산로터리클럽 회장, 1966~1967년 국제로타리 한국지구 총재, 1973년~1975년 대학병원협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한편, 김영소춘해병원과 간호 학교를 설립하는 일을 추진하여, 1958년 4월 재단법인 춘해병원을 설립하고, 1967년 12월 학교법인 춘해학원을 인가받아 1968년 3월 춘해간호학교를 개교하고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나아가 1971년 3월 신창동 춘해병원에 이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1동에 춘해범천병원을 개설하여 오늘날 춘해병원의 모습을 갖추었다. 춘해학원은 1979년 춘해간호전문대학, 1998년 춘해대학, 2008년 춘해보건대학으로 개편하였고, 교사를 부산진구 전포동으로 이전했다가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리로 이전하였다. 1992년 11월 9일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 『두개 내종양(Percival Bailey's Intracranial Tumors)』[1955, 한역], 『해악 문집(海岳文集)』[1957], 『춘해 의론(春海醫論)』1~3[1989~1991], 『도생집(道生集)』[1992], 『2차 세계 대전 관전기(二次世界大戰觀戰記)』[『해악 문집』2집, 1979], 『해악 의론(海岳醫論)』[『해악 문집』3], 『Album of Neuropathology』[1990. 김조영 공저], 『나의 로타리 봉사 사순(四旬)』[1991], 『백산 안희제 선생 흉상』[1989], 『자손(子孫)』[1991]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사송리 50번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59년 부산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춘해병원(http://www.choonhae.or.kr)
  • 춘해보건대학(http://www.ch.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