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105
한자 李沆
영어음역 Yi Hang
이칭/별칭 태초(太初),백봉(白峯)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신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여주
대표관직 동래 부사|대사헌
활동 시기/일시 1670년 -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6년 4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로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88년연표보기 - 동래 부사 퇴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6년 - 초량 연향대청 중창
부임|활동지 동래부 관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지도보기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태초(太初), 호는 백봉(白峯). 증조 할아버지는 이상신(李尙信)이고, 할아버지는 이지유(李志裕)이며, 아버지는 이방진(李邦鎭)이다. 어머니는 허경(許儆)의 딸이고, 부인은 이운한(李雲漢)의 딸이다.

[활동 사항]

이항(李沆)은 1670년(현종 11) 별시 문과 병과에 5등으로 급제하였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의하면 이항은 1686년(숙종 12) 1월 24일 비변사의 추천을 받았는데, 추천 인물은 이항을 포함하여 한구(韓構), 이기만 등 3명이었다. 이 가운데 이항이 동래 부사에 임명되었다. 이항은 1월 19일 사은숙배하고, 3월 17일 하직 인사를 하였다. 4월에 동래 부사로 부임하여 1688년(숙종 14) 교체될 때까지 약 2년간 재임하였다.

동래 부사로 부임한 해에 초량 왜관의 연향 대청(宴饗大廳)을 중창하였다. 연향 대청은 동래 부사가 일본에서 온 사신들에게 잔치를 베풀던 대청이다. 『동래부지(東萊府誌)』에 의하면 연향 대청은 18칸으로, 헐소(歇所)[휴게소] 4칸, 헐청(歇廳) 2칸, 남문 3칸, 북문 1칸, 공수(公須)[공용] 17칸의 부속 건물이 있었다. 동래에 휼민청(恤民廳)을 설치하여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였고, 환곡 400여 석을 탕감해 주었으며 조세를 균등히 하는 등 백성이 입은 은덕이 말로 다할 수 없었다고 한다. 1688년 1월에 차왜(差倭)를 재판하여 구류시킨 일로 파직되었다가 재등용되어 벼슬이 사헌부 대사헌에 이르렀다. 훗날 동래의 향로 회의(鄕老會議)에서 이항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생사단(生祠壇)을 조성하고, 품관(品官) 문유기(文有記)를 보내 초상화를 그려서 모셨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