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928
한자 下馬碑
영어의미역 Stone Tablet Indicating that One Should Dismount from a Horse
이칭/별칭 하마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재질 석재
크기 33㎝[높이]|66㎝[너비]
소유자 부산광역시청
관리자 부산광역시청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거제로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말에서 내리라는 명문을 새긴 비.

[개설]

하마비(下馬碑)는 계급의 상하를 막론하고 그곳을 지나갈 때는 ‘말에서 내리라[下馬]’는 뜻을 돌에 새긴 비석을 말한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하마정[下馬停]의 지명이 이 비석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건립 경위]

동래 정씨(東萊鄭氏) 2대조 안일공(安逸公) 정문도(鄭文道)는 고려 때 입향하였다. 정문도(鄭文道)의 묘소가 화지산(華池山)에 있었는데, 분묘(墳墓) 입구인 이곳에서 경의를 표하고 가라는 뜻으로 하마비를 세웠다고 한다.

[위치]

하마비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의 하마정 사거리 북쪽 횡단보도 앞 철로 아래에 있다. 본래 부산진구 양정동연제구 거제동 경계 지역[현재 하마정 사거리]에 위치하였는데, 1980년대 거제로 확장 공사로 철거되어 동래정씨종약소에서 보관해 오다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형태]

비의 규모는 높이 33㎝, 너비 66㎝이다.

[금석문]

비석에는 ‘하마(下馬)’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하마비 오른쪽에 근래 만든 하마비에 대한 유래를 새긴 비석이 세워져 있다. 부산광역시청이 소유하여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하마비는 이 지역이 신성한 공간임을 상징하는 역사 기념물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이** 위의 사진은 수영성 하마비 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2018.10.16
하****** 고려전기에 하마비라 하였는데 그에대헌기록이 없고 위의사진은 수영성 하마비 입니다 수정바랍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수정 요청을 접수하여 검토 중에 있습니다.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조속히 수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07.1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