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878
한자 金希壽
영어음역 Gim Hisu
이칭/별칭 운손(雲遜),지곡(池谷)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심민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신
성별
본관 김해
대표관직 군자감 판관
몰년 시기/일시 1592년 4월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66년 - 충렬사 동무에 배향
추모 시기/일시 1908년 - 김희수 순난비 건립
출생지 김해 - 경상남도 김해시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지도보기
부임|활동지 동래읍성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묘소|단소 김희수 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지도보기
묘소|단소 송공단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229-78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선황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충렬사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838지도보기
관련 유적 김희수 순난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지도보기

[정의]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 전투에서 전사한 무신.

[가계]

본관은 김해. 자는 운손(雲遜), 호는 지곡(池谷). 가락 후손 김녕군 목자 김목경(金牧卿)의 10세손이다.

[활동 사항]

김희수(金希壽)[?~1592]는 군자감 판관으로, 1592년 4월 왜군이 동래읍성에 쳐들어오자 동래읍의 군·관·민과 향리, 관노 등을 독려하여 끝까지 항전하다 전사하였다.

[묘소]

김희수의 묘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번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1713년(숙종 39) 임진왜란 순절자들을 모신 송공단(宋公壇)에 배향되고, 충렬사(忠烈祠)에도 배향되었다. 영조(英祖) 때 선무 원종공신 및 봉훈랑(奉訓郞) 군자감 판관에 증직되었다. 1908년(순종 2) 4월 후손들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에 있는 성황곡 묘소에 공적비를 세우고, ‘선무 원종공신 증군자감 판관 김해 김씨 공휘희수지묘’라고 새겼다. 이때 참배객들의 시문을 수록한 『김공수비 유감한시집』이 있다. 재실인 선황사(先篁祠)에서 매년 음력 10월 둘째 일요일에 제향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