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834 |
---|---|
한자 | 金潤龍 |
영어음역 | Gim Yunryong |
이칭/별칭 | 운서(雲瑞),도정(陶亭)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2로 265[병산리 산6]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심민정 |
[정의]
부산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활동한 무신.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운서(雲瑞), 호는 도정(陶亭). 경순왕(敬順王)의 27세손으로 아버지는 양산 군수를 지낸 김취(金鷲)이다. 아들은 통덕랑 김경유(金慶裕)이고, 손자는 조선 후기 유명한 유학자인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이다.
[활동 사항]
김윤룡(金潤龍)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이 되어 왜군과 싸웠다. 1594년(선조 27) 과거 급제 후 부산 다대포 군절제사 겸 부산진관(釜山鎭管)에 임명되어 왜군을 물리쳤다. 그 후 벼슬이 훈련원 정(訓練院正)에 이르렀다. 김윤룡은 글씨를 잘 써 명필가로도 이름을 떨쳤다.
[묘소]
김윤룡의 묘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산 6번지 박달산(朴達山)에 있다.
[상훈과 추모]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 정2등(正二等)에 책록되고 자헌대부(資憲大夫) 병조 판서 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추증되었다. 손자 김방한과 함께 이현사(二賢祠)에 배향되었으며, 매년 기장 향교에서 제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