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751 |
---|---|
한자 | 美音洞古墳群 |
영어의미역 | Ancient Tombs of Mieum-d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1180|1181|1182|1183|1184|1185|1186|1187|1188|1189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홍보식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군.
[위치]
미음동 고분군은 강서구 미음동 분절 마을을 감싸고 있는 해발 336m의 옥녀봉에서 동남쪽으로 뻗은 완만한 구릉 끝자락의 해발 20~30m인 분절 마을 남서쪽 중턱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10년 한겨레문화재연구원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모두 155기의 유구를 확인하였다.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 1동, 삼국 시대의 수혈 2기와 주거지 1동, 삼국 시대의 분묘 155기, 조선 시대의 분묘 6기 등이다. 유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삼국 시대의 분묘는 구덩식 돌방무덤 123기, 독무덤 13기, 굴식 돌방무덤 2기이다. 미음동 고분군의 중심 유구는 구덩식 돌방무덤이다.
[형태]
구덩식 돌방무덤의 장축은 등고선 방향과 나란하며, 구릉 능선부에 분묘가 밀집하면서 묘광끼리 중복된 경우가 많다. 석곽의 대부분은 파괴가 많이 되어 뚜껑돌과 벽 일부가 훼손되어 원형을 상실하였지만, 일부는 뚜껑돌이 잘 남아 있는 예도 있었다. 석곽은 깬 돌과 막돌을 사용하여 네 벽을 만들었고, 바닥은 생토면을 그대로 사용한 것과 사람 주먹 크기만한 깬 돌을 전면에 깐 것 등이 있다. 바닥에 돌을 깐 석곽의 규모가 생토면의 바닥인 것보다 규모가 크다. 뚜껑돌은 기다란 자연석 또는 깬 돌을 6~9매 정도 걸쳤다. 석곽의 규모는 길이가 3~5m 내외이고, 너비는 1m, 깊이는 1m 내외가 대부분이다. 조사된 석곽 중 규모가 가장 큰 62호묘는 이혈 주부곽식(異穴主副槨式) 구조이다. 주곽은 구덩식 돌방무덤이고, 주곽의 묘광에 인접해서 목곽 구조의 부곽을 설치하였다.
독무덤 13기는 구덩식 돌방무덤의 배묘 또는 단독으로 조영되었는데, 토광 내에 2개의 연질옹(軟質甕)의 아가리를 마주보게 만든 합구식과 석곽 내에 합구식 독무덤을 안치하였다. 독무덤은 모두 소형이고, 유아 또는 소아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독무덤의 시기는 구덩식 돌방무덤의 시기와 같다. 굴식 돌방무덤은 대부분 파괴되고 하단석 일부만 잔존하여 정확한 구조와 시기는 알 수 없다.
[출토 유물]
유물은 양쪽 단벽 가까이에 부장되었고, 주검은 중앙부에 안치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외절구연고배(外折口緣高杯), 광구소호(廣口小壺), 소형기대(小形器臺), 뚜껑이 있는 굽다리 항아리[유개대부호(有蓋臺附壺)], 뚜껑이 있는 큰 항아리[유개고배(有蓋高杯)], 굽다리 긴 목 항아리[대부장경호(臺附長頸壺)], 발형 기대, 원저장경호(圓底長頸壺)·연질옹 등의 토기류와 쇠낫·쇠도끼·쇠화살촉 등의 철기류가 있다. 고분군에서 가장 빠른 시기의 석곽에서 출토된 유물은 외절 구연 고배·광구 소호·소형 기대·유개 대부 직구호 등 소위 금관가야 방식의 토기이다. 늦은 시기의 유물로는 김해 지역의 특징적인 유물인 유개 단각 고배와 대부 장경호, 대가야 계통의 유개 고배와 대부 파수부완(臺附把手附碗) 등이 있다.
[현황]
경사가 완만한 구릉이 동서로 펼쳐져 있는 미음동 고분군에서 동쪽으로 100m 앞쪽에는 삼국 시대의 미음동 분절 조개더미가 있고, 그 앞쪽은 현재 논으로 개간된 평야가 있다.
[의의와 평가]
구덩식 돌방무덤의 구조와 형식, 출토된 유물의 특징으로 볼 때, 미음동 고분군은 5~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김해 지역의 특징적인 토기뿐만 아니라 창녕계 토기와 소가야계 토기 등도 출토되었는데, 다양한 계통의 토기가 출토된 점을 볼 때, 미음동 고분군을 만든 집단은 낙동강 하류의 지정학적 자연 환경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과의 교류에 종사한 집단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채집된 토기들은 미음동 고분군의 아래에 있는 미음동 분절 조개더미에서 채집된 토기와 비슷한데, 미음동 분절 조개더미 주변에서 생활하며 바다를 무대로 생업을 꾸려 나간 집단이 만든 무덤군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