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749
한자 繡溪橋
영어의미역 Sugye-gyo Bridge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종봉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량
관련문헌 『기장읍지(機張邑誌)』|『여지도서(輿地圖書)』|『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차성가(車城歌)」
비정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던 조선 시대 다리.

[개설]

수계교(繡溪橋)는 조선 후기 기장읍성의 남문에서 동헌·객사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나는 다리이었다. 수계교라는 명칭은 1870년(고종 7) 『기장읍지(機張邑誌)』에 비로소 나타나므로 19세기 후반에 불렸던 지명이다. 이전에는 광리교, 수각 다리, 홍교 등으로 불렸다.

1855년(철종 6) 현감 장유풍(張遺豊) 때 만든 수각교 중축문비(水桷橋重築文碑)에 “광리교가 1758년(영조 34) 돌로 만들어졌으나 14년 후인 1771년(영조 47)에 무너졌고, 여러 상황이 어려워 다시 복구하지 못해 기장읍민들이 관청을 드나드는 일조차 어렵게 되었는데, 여러 재정으로 평교로 복원하였다고 한다”며 수계교의 내력이 적혀 있다.

[명칭 유래]

수계교를 부르는 명칭은 물과 관련이 있다. 수계(繡溪)는 수령산(繡嶺山)에서 발원하여 내려오는 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형성 및 변천]

수계교는 현재 하천이 복개되어 원형을 볼 수 없다.

[관련 기록]

『여지도서(輿地圖書)』[기장현, 1759] 교량(橋梁)에 “광리교는 성의 남문 내에 있다[廣利橋 在城南門內]”라고 기록되어 있고,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1832] 교량에는 “광리교 현의 성 남문 내에 있다. 지금 홍교는 훼손되었다[廣利橋 在縣城南門內 虹橋今頹毁]”라고 실려 있으며, 『기장읍지』[경오식, 1870] 교량에는 “수계교 일명 광리교라 한다. 성의 남문 내에 있다. 옛날에는 홍교이었으며, 지금은 돌로 만든 평교이다[繡溪橋 一名廣利橋 在城南門內 舊虹橋 今石平橋]”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차성가(車城歌)」 읍내면편에 “백두산(白頭山) 늘근 바우 지기석(支機石) 되어 닛고, 수계교 맑근 물은 완사수(浣紗水) 되단 말가. 유현(柳峴)에 나 황조(黃鳥) 금사(金梭)를 던지덧, 월전포(月田浦) 긴 교어(鮫魚) 직금성(織錦聲)니 분명다”라고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