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항의 사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715
한자 釜山港-使命
영어의미역 Mission of Busan Harbor
이칭/별칭 『부산항의 사명(釜山港の使命)』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성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홍보 책자
편자 간성향양(間城香陽)
간행자 간성향양(間城香陽)
표제 釜山港の使命
편찬 시기/일시 1925년연표보기 -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25년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 51-1]지도보기
간행처 부산일보사 - 부산광역시[구 부산부 안본정 1]지도보기

[정의]

1925년 부산일보사에서 간행한 부산항 홍보 책자.

[편찬/간행 경위]

1925년은 부산항 개항 50주년이 되는 해였다. 개항 초기부터 부산에 건너와 정주하였던 일본인들은 개항 50주년을 맞아 여러 가지 부산항 홍보 행사들을 추진하였다. 『부산항의 사명』은 그 기념행사의 하나로 부산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제작한 홍보 책자로 보인다. 당시 부산일보사 편집국장이었던 간성향양(間城香陽)이 1925년 제작하였다.

[구성/내용]

『부산항의 사명』부산항이 개항 이후 일본인들에 의해 어떤 성장을 이루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식민지 조선에서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책자의 내용은 부산항의 역사와 지리를 시작으로 행정, 경제, 문화 분야 등에 걸쳐 26개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특히 경제 분야의 상공업 현황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가 중심인 것이 주목된다. 대체적인 구성은 개항 전후 조선 침략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한 부산의 개항부터 시작하여 부산항의 지형적 특징을 서술한 개세, 인구, 재정, 교육, 무역, 상업, 금융, 공업, 수산, 보험, 시장, 시가지, 통신, 사사(社寺), 명승지, 관공서, 회사 은행, 신문사, 노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의와 평가]

1925년 당시 부산항의 대략적인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