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578
한자 朴天樞墓
영어의미역 Tomb of Bak Cheongu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 82-19[대연동 산12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양식 원형 봉토분
관련인물 박천추(朴天樞)[1569~1633]
소유자 죽산 박씨 충제공파 인묵재공 문중
관리자 죽산 박씨 충제공파 인묵재공 문중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569년연표보기 - 박천추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633년 1월 16일연표보기 - 박천추 사망
이장 시기/일시 1683년연표보기 - 이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8년 10월 - 묘실 아래에 재실 증축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5동 산128-1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5동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전투에 참여한 박천추(朴天樞)의 묘.

[개설]

박천추[1569~1633]는 임진왜란 당시 집안의 노복(奴僕)과 함께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의 군사와 합세하여 왜적에 대항하였고, 그 후에도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다가 양산 협곡에서 전사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1605년(선조 38)에 공신으로 녹권[공신의 훈공을 세긴 패]이 하사되었다.

[위치]

1683년(숙종 9) 1월 16일 당시 소두산(蘇斗山) 동래 부사가 박천추 묘(朴天樞墓)가 초라함을 보고 현재의 황령산 연주봉으로 이장하였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5동 산128-1번지 대연정보고등학교 동편 연주봉 기슭이다.

[금석문]

비의 전면에 ‘선무 원종공신 죽산박공지묘(宣武原從功臣 竹山朴公之墓)’라고 되어 있다.

[현황]

박천추 묘는 구역이 잘 정리된 넓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묘 앞에 박천추 묘임을 알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으며, 묘소의 동쪽으로 박천추 선조 4위의 단이 있고, 서쪽으로 박천추의 아들 2명의 단과 손자의 단이 있다. 1968년 10월 박천추 묘 아래에 재실을 짓고 해마다 고을 유림들이 음력 4월 11일 제사를 지냈다. 1972년에는 후손들이 박천추의 애국정신을 받들어 재실 경내에 대연여자상업학교[현 대연정보고등학교]를 개교하였다.

이후 고을 유림의 제사는 대연정보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대신하고 있다. 또한 동래 유림의 진정으로 박천추의 위패가 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회에 심의를 받고 1991년 10월 충렬사에 합사되어 지방의 호국 영령으로 춘추 대제를 올리고 있다. 그리고 매년 음력 10월에는 문중 전체가 모여 묘제를 올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