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연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84
한자 具然軾
영어음역 Gu Yeonsik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인
성별
대표관직|경력 동아대학교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25년 7월 6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5년 3월 -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52년 3월 - 동아대학 국어 국문학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동아대학 국어 국문학과 강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동아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시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한국제작인협회 창립 회원, 한국시학회 회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한국학술진흥원 교수 논문 심사 위원, 부산문인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이사, 한국현대시인협회 고문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90년 - 상화 시인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7년 -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시 문학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2009년 2월 12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9년 9월 17일 - 추모전 개최
출생지 사천 -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중앙고등보통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
수학|강학지 동아대학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활동지 경남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5동 558지도보기
활동지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활동 사항]

구연식(具然軾)[1925~2009]은 1925년 7월 6일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에서 태어났다. 1945년 3월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현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6·25 전쟁 때 부산으로 옮겨 동아대학 국문학과에 입학, 1952년 3월 졸업하였다. 이후 경남여자고등학교 국어교사가 되었고, 1954년 4월 동아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사, 조교수를 거쳐 1966년 교수에 임명되었다. 구연식동아대학교의 유일한 시학(詩學) 전문 교수로서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입체파 문학 연구와 『삼사 문학』 동인 등을 연구하였다. 시인 조향(趙郷)과 함께 ‘현대문학연구회’의 후신인 ‘Gammas’의 회원으로 『Geiger』 1집에 시를 발표하고, 동인지 『일요 문학』에도 시를 게재하는 등 활발하게 시작 활동을 하였다. 1984년 한국제작인협회 창립 회원이 되었으며, 1985년 한국학술진흥원 교수 논문 심사 위원, 국제펜클럽 한국본부[한국펜클럽] 이사,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이사, 한국현대시인협회 고문을 지냈다. 1985년부터 4년 동안 부산문인협회 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2009년 2월 12일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시집 『검은 산호의 도시』[국제신보사, 1962]를 비롯하여 『감각』[시로, 1985], 『안개』[1989], 『큐슈 일기』[1992], 『오륙도』[1995], 『생활의 빛』[2000] 등을 펴냈다. 논문집 『입체파 시』[1974], 『미래파 시』[1974], 『초현실주의와 三四 문학 연구』[1975], 『한국 시의 고현학적 연구』[시문학사, 1979], 산문집 『지성의 해변』[시로, 1985]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78년 부산시 문화상, 1990년 상화 시인상, 1997년 한국펜클럽 시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09년 9월 17~10월 31일 구연식 추모전이 열렸고, 부산시인연대에 의해 제1회 ‘이 계절의 시인’에 선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