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243
한자 槐亭一洞遺蹟
영어의미역 Remains in Goijeong1-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하로 175[괴정1동 483]|사하로141번길 7[괴정1동 493]|괴정1동 610|611|824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연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청동기 시대 주거지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산광역시 사하구청
소재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1동 483
소재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1동 493
소재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1동 610~611
소재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1동 824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1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

[위치]

괴정1동 유적사하구 괴정동에서 감천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아래에 있는 삼성중학교 교문 옆 도로변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괴정1동 유적은 1964년 도로 공사로 인해 모두 파괴되었기 때문에 유구의 성격이나 출토 유물 등에 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이곳에서 출토된 민무늬 토기를 통해서 괴정2동 유적에서 발견된 고인돌과 같은 청동기 중기 후반으로 추정되며, 유적의 성격은 괴정2동 고인돌을 축조하였던 사람들의 주거지로 추정된다.

[출토 유물]

완형(垸形)에 가까운 민무늬 항아리 토기[호형 무문 토기(壺形無文土器)] 1점이 발견되었다. 민무늬 항아리 토기의 그릇 모양은 구경부(口經部)가 약간 내경(內頃)하며 동체(胴體)를 갖는 형태이며, 밑바닥은 평평하다. 태토는 모래 알갱이가 혼입된 점토이고, 기벽(器壁)은 0.9~1.2㎝ 정도로 약간 두터운 편이다. 소성 상태는 보통이고, 색조(色調)는 적갈색을 띠며, 높이는 32.8㎝이다. 이 민무늬 항아리 토기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괴정2동 유적에서 출토된 붉은 간 토기[단도 마연 토기(丹塗磨硏土器)]와 그릇의 모양이 거의 비슷하다. 괴정1동 유적이 확인되기 오래전에 이곳 앞 도로에서 간 돌도끼 1점이 채집되었다.

[현황]

도로 공사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유적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평가와 의의]

괴정1동 유적은 발견된 당시부터 파괴가 심하여 유적의 성격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다만 괴정2동 유적과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만 아니라 출토 유물에서도 유사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들 유적의 상호 관련성은 충분히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괴정1동 유적에서 출토된 민무늬 항아리 토기는 부산 지역의 민무늬 토기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