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천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192
한자 大川橋
영어의미역 Daecheon Bridge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신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량
관련문헌 『동래부지(東萊府誌)』
비정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던 조선 시대의 다리.

[개설]

대천교(大川橋)가 있던 곳은 조선 시대 동래 온정(溫井)이 있었다. 동래읍에서 온정으로 가려면 온천천을 건너가야 하였다. 대천교동래읍에서 온천천을 넘어 온정으로 갈 때 이용되던 다리이었다.

[명칭 유래]

온천천동래읍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천(西川)이라고도 하고, 동래의 가장 중요한 하천이라고 하여 동래천이라고도 하였다. 그런데 온천천대천교가 건립된 것으로 보아, 온천천이 큰 하천이라는 의미에서 대천이라고도 불렸던 것으로 보인다.

[형성 및 변천]

『동래부지(東萊府誌)』는 1740년(영조 16)에 작성되었으므로, 대천교영조 당시에 존재한 다리가 분명하지만 언제 건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동래부지』에 의하면 대천교과 함께 등장하는 광제교와 이섭교는 석축으로 만들었다는 내용이 있는 데 비해, 대천교에 대해서는 그런 내용이 없는 것으로 보아 대천교가 나무다리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대천교의 변천에 대해 알 수 없는 이유도 나무다리이었기 때문에 흔적이 남지 않은 결과로 보인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대천교는 현재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온천천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온천동명륜동의 경계 지점으로 보인다.

[관련 기록]

『동래부지』의 교량(橋梁) 조항에는 대천교, 광제교, 이섭교, 탄천교, 범천교 등 5개 다리에 관해 실려 있는데, 대천교는 “부의 북쪽 5리에 있다[大川橋 在府北五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