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감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186
한자 甘浦
영어의미역 Gampo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3동 40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심민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포구
관련문헌 『동래부지(東萊府誌)』
비정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3동 40 일대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3동에 있던 조선 시대 감포 만호영이 설치된 포구.

[명칭 유래]

오늘날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일대에 감포 만호영이 위치하고 있었는데, 그 이름을 따 ‘감포(甘浦)’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 휘하의 감포 만호영은 경주의 감포에 있었다. 감포 만호영임진왜란 이후 부산의 해상 방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부산포로 이전하였다가, 그 뒤 다시 동래 남촌[현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광안동 일대]으로 옮겼다. 1917년 간행된 『신구 대조 조선 전도 군면리 동 명칭 일람(新舊對照朝鮮全道郡面里洞名稱一覽)』에 의하면, “1914년 행정 구역이 개편됨에 따라 부산부 용주면(龍珠面)호암동남면(南面)남외동(南外洞)감포동(甘浦洞)을 합쳐 동래군 남면 광안동이 되었다고 한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1914년 부산부 용주면호암동남면남외동감포동을 합쳐 동래군 남면 광안동이 되었다고 하므로 오늘날 감포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일대로 추정할 수 있다. 더하여 현재 감포의 지명에서 유래한 감포로가 현재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3동 40번지에서 광안1동 130번지까지[동방 오거리]로 명명되어 있다. 즉 이들 자료를 토대로 하면 감포는 현재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3동 40번지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관련 기록]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남촌면감포리(甘浦里)가 있는데, 동래부 관문에서 12리 떨어져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신구 대조 조선 전도 군면리 동 명칭 일람』에도 기록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