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30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石造如來坐像-二-
영어의미역 Bronze Buddha Statu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불상|석조 여래 좌상
재질
크기 26.5㎝[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①]|31㎝[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②]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여래 좌상.

[개설]

석불(石佛)은 돌로 만든 불상으로 고대 인도에서 시작하여 불교와 함께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각지로 퍼져 나갔다. 우리나라에는 암벽에 새긴 마애불(磨崖佛)을 비롯하여 하나의 돌덩이를 전면적으로 다듬어서 조각한 두리새김 불상, 돌에 돋을새김을 한 불상 등 다양한 석불의 유형이 있으며, 삼국 시대 이래 널리 제작되어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石造如來坐像(二))은 총 2구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①의 높이는 26.5㎝이다. 나발(螺髮)과 계주(髻珠), 정상 계주(頂上髻珠)를 갖추고 있으며, 백호(白毫)는 없다. 목은 부러져 보수하였고 왼쪽 귀 아랫부분이 파손되었다. 대의는 통견(通肩)이며 내의인 승각기(僧脚崎)는 표현하지 않았고, 가슴 아랫부분에서 평행 띠 주름을 새겨 하의인 군의(裙衣)를 매고 있는 형식이다. 두 손은 선정인(禪定印)의 자세로, 왼손 위에 약합(藥盒)을 올려놓아 약사여래임을 알 수 있다. 불상의 뒷면 왼쪽 아랫부분이 손상되었고, 대좌는 무릎과 군의 자락을 포개 모은 부분의 아래쪽을 깎아 내어 불상의 몸체와 구별될 정도로만 단순하게 표현하였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②의 높이는 31㎝이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①과 같은 형식이지만 옷 주름과 손의 처리에서 차이가 나므로 부산 지역의 특징을 보인다. 대의는 통견이며 역시 내의는 표현하지 않았고, 군의를 묶는 띠는 없다. 두 손은 옷 속으로 감추어 보이지 않도록 표현하였다. 손 아래쪽 옷 주름은 ‘U’ 자형 한 줄의 주름으로 처리하여 간략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불상의 왼쪽 무릎 아래와 오른쪽 무릎 앞쪽의 대좌와 오른쪽 무릎, 오른쪽 팔의 대의 자락이 약간 파손되었다.

[특징]

2구 모두 반쯤 감은 눈꼬리가 약간 위쪽으로 올라가 있어 날카로운 인상을 주고 있으며, 신체의 양감이 전혀 표현되어 있지 않고 대의의 옷 주름이 도식적으로 새겨져 있어 경직되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의의와 평가]

신체에 비해 상당히 큰 방형의 얼굴과, 좁은 어깨의 네모난 몸집에서 보이는 경직되고 딱딱한 조각 기법과 함께 정상 계주가 표현되는 점 등으로 보아,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조 여래 좌상(2) 2구는 조선 후기 부산 지역에서 제작된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알려 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