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금동 보살 좌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730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金銅菩薩坐像
영어의미역 Gilt-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보살상|금동 보살 좌상
재질 금동
크기 16㎝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의 금동 보살 좌상.

[개설]

금동 불상이란 청동제 불상 표면에 도금한 불상을 말한다. 청동 불상 표면에 도금하는 일은 불상이 장엄해 보이는 효과도 있겠지만 그보다 교리적인 배경이 더 중요하다. 곧 부처가 갖춘 32길상(吉相) 가운데 금색상(金色相) 또는 장광상(丈光相) 등에 그 근거를 둔다. 우리나라에서 금동 불상이 제작되기 시작한 시기는 6세기를 하한으로 삼고 선사 시대의 청동기 제작 기술의 발달상 또는 고분 출토품 등을 참고하여 5세기경, 빠르면 4세기 말경에도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금동 불상은 불교 전래 이후 삼국 시대,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 제작되어 우리나라 불상 조각 연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금동 보살 좌상(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金銅菩薩坐像)의 크기는 높이가 16㎝, 너비가 10㎝이다. 화려한 조각이 돋보이는 높은 보관 뒤로 검게 채색한 보발(寶髮)을 표현하였고, 늘어진 머리카락은 어깨까지 흘러내렸다. 귀 아래에는 두툼한 귀걸이를 표현하였으며, 백호(白毫)가 이마 중앙에 혹처럼 볼록하게 표현되어 뚜렷이 드러난다. 눈썹과 눈, 콧수염은 검은 먹으로 그렸으며 입은 붉은색으로 채색하였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하지 않았고, 가슴에는 화려한 영락을 도드라지게 표현하였다.

상체는 나신이며, 양쪽 어깨 부분에서 각각 2조의 선으로 표현된 천의(天衣)가 허리 뒤로 돌아갔다가 다시 앞으로 흘러나와 두 팔목을 감싸고 대좌(臺座)로 흘러내리고 있다. 양팔 상단부에는 장신구를 착용하였다. 두 손은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무릎 위에서 선정인(禪定印)을 맺고 정병(淨甁)을 받들고 있다. 양 무릎 위에도 영락이 표현되어 있으며, 하의인 군의(裙衣) 자락은 무릎 앞에 모아져 있다. 대좌는 상대와 하대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대에는 앙련(仰蓮)의 연꽃 문양 위에 연주문(蓮珠文)을 돌렸고, 하대에는 복련(覆蓮)의 연꽃 문양 아래에 연주문을 돌렸다.

[특징]

일반적인 관세음보살상과는 달리 보관에 화불(化佛)을 표현하지 않았다. 대신 두 손으로 정병을 받쳐 들고 있는 형식을 보여 준다. 보관의 형식을 보면, 고려 초기에 유행하던 원통형의 보관 모습에서 탈피하여 산 모양의 화관(花冠)을 쓰고 있어 조선 초기 보살상들의 보관 형식에 선행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대좌의 형식도 고려 시대의 일반적인 팔각형 또는 방형의 상·중·하대의 3단 대좌에서 벗어나 상하 2단의 타원형 대좌 형식으로 바뀌어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금동 보살 좌상은 보관에 화불은 없으나 정병을 받들고 있어 관세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신체의 비례가 아름답고 사실적인 세부 묘사가 뛰어나 고려 후기 보살상의 제작 기법 및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