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781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白磁靑畵墓誌 |
영어의미역 | White Porcelain Green Paint Tombston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장동철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백자 청화 묘지(白磁靑畵墓誌).
[형태]
가로 13.5㎝, 세로 21㎝인 직사각형의 백토판이 9개이다.
[특징]
유색(釉色)은 설백색(雪白色)·유백색(乳白色)·회백색(灰白色)을 띠고 있다. 백토판의 바닥은 유약(釉藥)을 닦아 낸 후 가는 모래를 받쳤다. 묘지(墓誌)에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영의정 김수항(金壽恒)[1629~1689]과 부인 나씨(羅氏)에 관한 내용이 적혀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마지막에 ‘숭정 기원 칠십이 년 육월일 번조(崇禎紀元七十二年六月日燔造)’라는 내용을 통해 묘지가 1699년(숙종 25)에 제작되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백자 청화 묘지(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白磁靑畵墓誌)는 죽은 사람의 이름과 경력, 생몰 연월일, 성품, 가족 사항 등이 새겨져 있어 사료적 가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백자의 질과 청화 안료(靑畵顔料)의 발색(發色) 상태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태토(胎土)는 기공(氣孔)이 조금 있으나 정선(精選)되었으며, 유색과 청화(靑畵)의 발색이 좋다. 특히 동일한 크기인 9개의 직사각형 판은 주목된다. 즉, 번조(燔造)할 때 많은 수축률을 계산한 기술이 없었다면 동일한 크기의 판을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