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687 |
---|---|
한자 | 徐國英 |
영어음역 | Seo Gukyeong |
분야 |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용규 |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영문학자 겸 교육자.
[가계]
본관은 달성(達城). 아버지는 서기윤(徐基允)이고 어머니는 이두이(李斗伊)이다. 부인은 김봉자(金峰子)로 화가 김용주(金容朱)의 딸이다.
[활동 사항]
서국영(徐國英)[1925~2006]은 1925년 2월 14일 경상남도 통영시 동호동에서 태어났다. 1933년 통영공립보통학교[현 통영초등학교]에 입학하였고, 1943년 부산제2공립상업학교[현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해방 후 통영으로 돌아가 1946년 통영공립중학교[6년제]에 편입하여 1948년 6월 졸업하였다. 그해 9월 부산대학교 문리학부 영문학과에 입학하였다. 1955년 11월 부산대학교 영문학과 전임 강사가 되었고, 1977년 2월 같은 학교에서 「W. B. Yeats의 가면무극에 나타난 Supernatural Vision에 관한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에 서강대학교 교류 연구 교수, 1980년에 영국 워릭대학교 객원 교수, 1981년 3월 부산산업대학[현 경성대학교]를 거쳐 1985년 동의대학교 영문학과 교수가 되었다.
서국영은 영문학 중에서도 영미 희곡을 전공하였다. 서국영이 공부할 당시에는 아일랜드 문학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서국영은 아일랜드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W. B. 예이츠[William Bulter Yeats]의 시극과 가면극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1981년 아일랜드문학연구회 창립을 이끌어 회장을 지냈고, 이후 한국예이츠학회 창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초대 회장을 맡았다.
서국영은 우리 고전 문화에도 관심이 많았다. 「동래 야류(東萊野流)」, 「수영 야류(水營野流)」, 가면극 등을 연구하였으며, 「동래 학춤」과 「양산 학춤」의 발굴 및 무보(舞譜) 작성에 참여하였다. 또한 문화공보부 문화재위원회 전문 위원으로서 무형 문화재 자료 발굴에도 앞장섰다. 부산 연극계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한국연극학회 부산지부[현 부산연극학회] 설립에 참여하였고, 회장을 지냈다. 영문학, 민속 문화, 연극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였던 서국영은 2006년 2월 13일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박사 학위 논문 「W. B. 예이츠의 가면무극에 나타난 Supernatural Vision에 관한 연구」가 있고, 편저로 『Representative modern plays』[서린출판사, 1984], 『영미 희곡선』[학문사, 1986] 등이 있다.
[묘소]
서국영의 묘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494-1 영락 공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국민 훈장 동백장, 부산시 문화상을 받았고, 두 차례 부산시 향토 문화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