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624 |
---|---|
한자 | 富平洞市場 |
영어의미역 | Bupygong-dong Market |
이칭/별칭 | 부평정 공설 시장(富平町公設市場)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양미숙 |
[정의]
1915년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에 설립되었던 공설 시장.
[건립 경위]
부영(府營) 판매품, 식량품, 일용 잡화를 10~25% 정도 할인하여 판매함으로써 일본인 주민을 구제할 목적으로 부산부가 일반 시장을 공설 시장으로 바꾸어 건립하였다.
[변천]
부평동 시장의 전신은 1910년 6월 부평정에 일한 시장(日韓市場)이라는 명칭으로 개설된 개인 시장이었다. 1915년 9월 시설 등을 개선하여 부산부가 경영하는 공설 시장으로 재편하였다.
[구성]
1922년, 1924년 두 차례에 걸쳐 시장 주위의 도로 211.2㎡[64평]를 편입시켜 시장을 확대하였다. 시장의 용지는 1926년 3,880.8㎡[1,176평], 건평 1,719.3㎡[521평]이던 것이 1927년 4,233.9㎡[1,283평], 건평 1,765.5㎡[535평]로 되고, 건물은 목조 단층 건물이었다. 부평동 시장은 옥외와 옥내로 구성되어 있다. 1923년에는 총 점포 수 422개소에 옥내 점포 수 132개소였으며, 1935년의 경우 총 점포 수 662개소에 옥내 점포 수 92개소였다. 1일 매상 평균은 1923년 4,346엔, 1935년 6,500엔이었다. 시장 내부와 외부의 점포세도 차등으로 부과되었다. 공설 시장의 시장 가격은 부산부에서 조사하여 엄격하게 통제하였다. 상가는 상가 사용료와 일반 부비(一般府費)로 유지하였다.
[현황]
일제 강점기 부평동 시장은 현재 깡통 시장의 기원이 되는 시장이다. 당시 부평 공설 시장의 위치는 현재의 깡통 시장이 아니라 부근의 부평 아파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