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대신동 소재 비닐 공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577
한자 東大新洞所在-工場
영어의미역 Plastic Company at Dongdaesin-dong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보수대로154번길 36[동대신동 1가 1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건물|공장형 건축물
양식 철근 콘크리트 구조[1층·2층]|시멘트 블록조[3층]
소유자 기획재정부
관리자 기획재정부
건립 시기/일시 1959년 10월 10일연표보기 -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6년 5월 10일연표보기 - 증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0년 12월 18일연표보기 - 주택을 겸한 점포로 증축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 17-1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 17-1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에 있는 공장 건축물.

[위치]

동대신동 소재 비닐 공장 건물은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 17-1번지, 동대 사거리에서 동일교회 방면에 위치한다. 주변에는 혜광고등학교민주 공원이 있으며, 건물 뒤쪽으로 보수산이 자리하고 있다.

[변천]

동대신동 소재 비닐 공장 건물은 1959년 10월 10일에 건립되었다. 건립 초기에는 주택과 창고의 용도로 지어졌는데, 두 차례의 대대적인 증축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66년 5월 10일에 연면적 229.1㎡의 철근 콘크리트조 슬래브 지붕 2층 건물과 연면적 78.18㎡의 철근 콘크리트조 슬래브 지붕 1층 건물, 연면적 100.36㎡의 철근 콘크리트조 슬래브 지붕 1층 건물, 연면적 133.39㎡의 시멘트 블록조 슬레이트 지붕 1층 건물을 증축하였다. 1970년 12월 18일에는 연면적 444.79㎡의 철근 콘크리트조 슬래브 지붕 3층 건물[주택을 겸한 점포]을 증축하였다. 동네 주민에 의하면 동대신동 소재 비닐 공장 건물은 옛날부터 비닐 공장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형태]

여러 차례의 증축을 통해 평면상 비정형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다. 최고 3층 규모의 건축물로, 건립 초기에는 연면적 714.81㎡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1·2·3층의 외장이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1층은 돌 붙임[돌 들여 쌓기와 내어 쌓기를 해서 두툼하면서도 움직이는 듯한 분위기 연출], 2층은 타일, 3층은 회 바름으로 되어 있다. 지붕은 콘크리트 평지붕으로 되어 있다. 1966년에 총 541.03㎡의 공장을 증축하였는데,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스래브 지붕과 시멘트 블록조에 슬레이트 지붕으로 공사하였다.

이후 1970년에 다시 한 번 증축하여 총 1,700.63㎡가 되었다. 각 층마다 재료를 달리하고 창호의 크기, 층별 데크와 난간 등 다양한 의장적 요소를 사용한 초기 건물과는 달리, 증축된 건물의 도로를 접하고 있는 입면은 흑갈색 타일의 동일한 재료가 사용되었고, 기능 위주의 문과 창호 형태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초기 건물과 증축 후 건물 사이에는 확연한 대비가 나타난다.

[현황]

현재 동대신동 소재 비닐 공장 건물의 소유자 및 관리자는 기획재정부[구 재정경제원]로 되어 있다. 아무도 거주하지 않아 들어갈 수 없게 문이 잠겨 있으며, 관리가 미흡하여 주변 주거지와는 사뭇 다른 풍경이다.

[의의와 평가]

동대신동 소재 비닐 공장 건물은 1950년대 말 건립 당시에 사용된 주택 건축물의 재료와 의장 요소를 엿볼 수 있는 사료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건축물의 노후화로 외형이 주변과 어울리지 못하고 있어서 관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