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내원정사 조상경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513
한자 內院精舍造像經
영어음역 Josanggyeong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엄광산로40번길 80[서대신동 3가 산3-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영호 1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720년 5월연표보기 -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12월 21일연표보기 - 내원정사 조상경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내원정사 조상경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소장처 내원정사 - 부산광역시 서구 엄광산로 40번길 80[서대신동 3가 산3-2]지도보기
간행처 화장사 - 용강현
성격 고도서|불교 의식집
권책 2권 1책 선장본(線裝本)
행자 9행 20자[반엽의 행자]
규격 27.2㎝x18.8㎝|22.8㎝x17㎝
어미 상하내향이엽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대장일람 조상품 십사칙(大藏一覽造像品十四則)
판심제 조(造)[제2권은 복(腹)]+장차[일(一)·이(二)]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 내원정사(內院精舍)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한역 불교 의식집.

[개설]

내원정사 조상경(內院精舍造像經)은 1720년(숙종 46) 5월 평안도 용강현(龍岡縣)[현 남포특별시 용강군] 봉곡산(鳳谷山) 화장사(華藏寺)에서 조성된 목판 조상경을 찍어 만든 선장본(線裝本)이다. 첫 장에 필사되어 있는 「인과경략초(因果經略抄)」는 후대에 보충 첨가되었으며, 제1권인 『조상경』은 11장, 제2권인 『제불보살복장단의식(諸佛菩薩腹臟壇儀式)』은 27장으로 2권 1책이다. 『조상경』, 『조상공덕경(造像功德經)』 등 여러 경전에서 내용을 인용하여 불상과 보살상의 조성에 따른 제반 의식과 절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제불보살복장단의식』은 불상과 보살상의 복장물을 안치하는 방위와 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조상경』은 2000년 12월 21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구덕산(九德山) 내원정사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간행 경위]

숙종과 왕비 및 세자 등 왕실의 안녕과 전쟁 종식 및 불법(佛法)의 보급을 기원하기 위해 장대립(張大立) 등 7명이 시주하여 평안도 용강현 봉곡산 화장사에서 조성하였다. 경판의 조성 각수는 체은(骵訔)과 석인(釋仁)이다.

[형태/서지]

필사된 「인과경략초」 1장과 목판본의 인경본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섯 구멍을 뚫고 실로 꿰매는 전통 방식의 선장본이다. 규격은 27.2x18.8㎝ 및 22.8x17㎝이다. 판본 형식은 사방을 한 선으로 둘러싼 사주 단변(四周單邊)이며, 본문에는 개별 행 사이에 계선(界線)이 없다[필사본은 경계가 있음]. 반엽(半葉)의 행자 수는 9행 20자이다[필사본은 반엽 16행 35~37자]. 반으로 접히는 가운데 부분인 판심은 상하 내향 이엽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2개 어미 가운데 위 어미가 아래쪽, 아래 어미가 위쪽을 향하며, 어미 부분에 2개의 화문이 있는 형태]이며, 판심제는 조(造)[제2권은 복(腹)]+장차[일(一)·이(二)]이다.

[구성/내용]

표지 제목이 ‘화엄 조상(華嚴造像)’이며, 첫 장은 후대에 필사된 「인과경략초」 1장이다. 제1권은 권수제(卷首題)인 ‘대장일람 조상품 십사칙(大藏一覽造像品十四則)’을 이어 본문 내용이, 제2장은 권수제인 ‘제불보살복장단의식(諸佛菩薩腹藏壇儀式)’을 이어 본문이 서술되어 있다. 각 권의 뒷부분에는 보치진언(寶齒眞言)[주문]을 실담장(悉曇章)[산스크리트 문자를 한글로 설명한 글]·한글·한문으로 병기하고 있다. 제2권에는 본문 내용 다음에 ‘주상 전하 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 ‘왕비 전하 수제년(王妃殿下壽齊年)’, ‘세자 저하 수천추(世子邸下壽千秋)’, ‘간과 영식(干戈永息)’, ‘법륜□전(法輪□轉)’이라는 내용과 시주자·각수 등의 인명과 법명이 새겨져 있으며, 마지막 행에는 ‘강희 오십구년 경자 오월일 평안도 용강현 봉곡산 화장사 개간(康熙五十九年庚子五月日平安道龍岡縣鳳谷山華藏寺改刊)’이라는 간기가 있다.

[의의와 평가]

내원정사 조상경은 17세기 초기 평안도 용강현 봉곡산 화장사의 목판 인쇄술 역량과 더불어 사상적 경향을 이해하고, 개별 사원의 불상 조성 의식 및 보치진언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국가기록유산(http://www.memorykorea.go.kr)
  • 내원정사(http://www.naewonjungsa.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