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428 |
---|---|
한자 | 李德成肖像-關聯資料一括 |
영어의미역 | Portrait of Yi Deokseong and the Related Documents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오인택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이덕성(李德成)의 초상화와 관련 자료 일괄.
[개설]
1688년(숙종 14)에 동래부사로 부임하였던 반곡(盤谷) 이덕성의 초상화와 이덕성 관련 자료가 ‘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이란 명칭으로 2006년 12월 29일 보물 제150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부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이덕성의 초상화 크기는 가로가 99㎝, 세로가 167㎝이다. 높은 오사모(烏紗帽)에 녹색 단령을 입고 교의에 앉은 모습이며, 배경은 없다. 얼굴은 가는 선묘를 사용하였으며, 수염이 길고 구불거리게 묘사되었다. 단령(團領)은 비교적 가늘고 짙지 않은 먹선으로 표현하였고 명암을 조금씩 가하였다. 쌍학흉배(雙鶴胸背)는 밝은 녹색을 바탕으로 단정학(丹頂鶴)과 오색구름을 세필로 화려하게 그렸다. 이덕성 관련 고문서는 교서 3점, 유서 3점, 교지·교첩 114점, 시권 1점 등 모두 121점이다.
[특징]
이덕성의 초상화는 정형화된 형식에서 자연스러운 형식으로 변모하던 18세기 초엽의 정교한 작품으로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또 관련 고문서는 백패와 홍패를 비롯하여 관직을 제수받을 때의 관련 교지가 모두 완비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은 초상화의 흐름과 이덕성 개인의 전기 자료로서 사료적인 가치가 있으며, 인사·행정에 관한 연구 자료가 된다. 또한 이덕성의 몇몇 필적도 왕실 유물 및 서예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