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277
한자 七岩里遺物散布地
영어의미역 Area of Artifacts in Chilam-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 245|246|247|248|249|250|251|252|253|254|255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조선/조선
집필자 김영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물 산포지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5년 4월연표보기 - 복천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함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 245~255
출토 유물 소장처 복천박물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에 있는 삼국 및 남북국 시대,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위치]

칠암리 유물 산포지는 동해안을 따라 놓인 국도 제31호선의 칠암에서 좌천으로 가는 지방도로 접어들어 약 250m 정도 따라 들어가면 KT 기장지점이 있는데, 이곳에서 남쪽 지역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5년 복천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삼국 시대의 도질 토기와 조선 시대의 백자편을 채집하였다. 하지만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적의 자세한 성격을 알 수 없다.

[출토 유물]

삼국 시대의 도질 토기편, 남북국 시대의 도기편, 조선 시대의 파상문(波狀紋)[물결무늬] 분청사기편과 백자편이 채집되었다.

[현황]

서쪽 지역은 임야로 조성되어 소나무가 우거져 있지만, 대부분의 지역은 계단상으로 개간하여 대부분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삼국 시대 이래 조선 시대의 생활 유적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추정된다. 또한 바다를 접한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해 있어 어업 등을 하기에 대단히 유리한 생활환경이다. 따라서 선사 시대 이래 사람들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곳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