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병산리 백자 가마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240
한자 屛山里白磁-
영어의미역 Kiln Site for White Porcelain in Beyongan-ri
이칭/별칭 병산리 백자 요지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산105|106-1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유우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마터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 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에서 지표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5년연표보기 - 기장군에서 지표 조사 실시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산 105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106-10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백자 가마터.

[위치]

병산리 백자 가마터병산 저수지에서 동남쪽으로 가는 함박산의 북쪽 골짜기인 사그짐골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8년 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가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고, 2005년에는 기장군이 다시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백자 가마터임을 확인하였다. 가마의 실체는 보이지 않고, 채집된 자기의 모양이나 상태로 미루어 보아 대체로 17~18세기에 잠시 동안 사용되었던 지방의 백자 가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비교적 광범위하게 자기편들을 찾아볼 수 있고, 자기편들이 분포하는 산에는 나무와 잡풀들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상태이다. 기장군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주변에 병산 저수지를 끼고 있어 물이 풍부하고 철분 성분이 많은 백토가 산출되는 것이 기장 지역의 특징이다. 특히 가마터가 있는 병산리 지역은 철분 성분이 많은 백토가 산출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와 같거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 설치된 가마 혹은 가마터의 비교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