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서헌순 영세불망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72
한자 徐憲淳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Seo Heonsun
이칭/별칭 순상국 서헌순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심민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서헌순(徐憲淳)[1801~1868]
재질 석재
크기 104㎝[높이]|47㎝[너비]|12㎝[두께]
소유자 국유
관리자 부산광역시 수영구청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01년연표보기 - 서헌순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서헌순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63년연표보기 - 서헌순 경상도 관찰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65년연표보기 - 서헌순 경상도 관찰사 퇴임
현 소재지 수영 사적 공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관찰사 서헌순(徐憲淳)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서헌순 영세불망비(徐憲淳永世不忘碑)는 1863년(철종 14) 3월 경상 관찰사로 부임하여 1865년(고종 2) 이임한 서헌순[1801~1868]의 선정을 기려 세웠다.

[위치]

서헌순 영세불망비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 수영 사적 공원 내 의용 사당 뜰에 있다.

[형태]

석비이며, 크기는 높이 104㎝, 너비 47㎝, 두께 12㎝이다. 이수(螭首)는 양쪽에 돌출된 소용돌이 모양 장식이 세 개씩 각각 달린 둥근 반원 형태이며, 꼭대기에는 보주가 있다. 이수의 전면에는 하트 모양의 틀을 음각하여 그 안에 양각으로 동그라미를 새겨 놓았다.

[금석문]

비석에는 ‘순상국 서공헌순 영세불망비(巡相國徐公憲淳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백성이 소생하고 폐단이 혁파되니, 우리 상공(相公)으로부터 말미암았도다. 수많은 집에 살아 있는 부처이고, 온 진영에 문옹(文翁)이어라. 은혜는 바다와 같이 넓고, 덕은 산보다 높도다. 비석은 변하지만, 은혜는 가히 무궁할 것이다[民蘇弊革 由我相公 千家活佛 一鎭文翁 恩如海廣 德比山崇 石猶有變 惠可無窮]”라고 적혀 있다.

[현황]

수영 사적 공원 내 수사 선정비군과 함께 있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청이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세워져 있는 서헌순 만고불망비와 비교 대조하여 당시의 업적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