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67
한자 黃震文善政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wang Jinmun’s Exemplary Government
이칭/별칭 수사 황공진문 선정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유영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선정비
관련인물 황진문(黃震文)[1632~?]
재질 석재(石材)
크기 ①: 90㎝[높이]|37㎝[너비]|15㎝[두께]②: 88.5㎝[높이]|35㎝[너비]|13㎝[두께]
건립 시기/일시 1702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32년연표보기 - 황진문 출생
현 소재지 수영 사적 공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좌수사 황진문(黃震文)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개설]

조선 후기 무신인 황진문[1632~?]은 경상북도 칠곡군 사람으로, 창원 황씨(昌原黃氏) 판서공파의 파조(派祖) 황현원(黃顯源)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참판 황영청(黃永淸)이고, 어머니와 부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1653년(효종 4) 무과에 급제하여, 경상 좌수사를 역임하고 부총관(副總管)에 이르렀다. 여러 고을의 수령을 역임하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다고 한다.

[건립 경위]

황진문 선정비(黃震文善政碑)는 1700년(숙종 26) 5월부터 1702년(숙종 28) 4월까지 경상 좌수영의 좌수사로 재임한 황진문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1702년에 세웠다. 황진문 선정비는 다른 선정비와 달리 두 기가 존재하는데, 각각 ‘수사 황진문 선정비①’과 ‘수사 황진문 선정비②’로 명명하였다. 각 비의 자세한 건립 경위는 알 수 없지만, 수사 황진문 선정비②의 비음(碑陰)에 1702년 3월 군졸들이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군역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위치]

수사 황진문 선정비①과 수사 황진문 선정비②는 모두 수영 사적 공원의 남쪽 언덕 아래에 정비해 놓은 수사비(水使碑) 무리 속에 들어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이다.

[형태]

수사 황진문 선정비①은 높이 90㎝, 너비 37㎝, 두께 15㎝이다. 개석(蓋石)을 덮은 흔적이 있지만, 지금은 없고 반듯한 장방형의 비신(碑身)만 존재한다. 기단석은 현재의 위치로 옮길 때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수사 황진문 선정비②는 높이 88.5㎝, 너비 35㎝, 두께 13㎝이다. 수사 황진문 선정비①과 마찬가지로 개석을 덮은 흔적이 있지만, 지금은 개석과 기단석 없이 장방형의 비신만 반듯하게 있다.

[금석문]

수사 황진문 선정비①은 ‘수사 황공진문 선정비(水使黃公震文善政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강희 임오 삼월 일 진무(康熙壬午 三月 日 鎭撫)[강희 임오년(1702) 3월 일 진무]”라고 적혀 있다. 수사 황진문 선정비② 역시 ‘수사 황공진문 선정비(水使黃公震文善政碑)’라는 비제와 함께 “강희 사십일년 임오 삼월 일 군졸 등 립(康熙四十一年壬午 三月 日 軍卒等 立)[강희 41년 임오년(1702) 3월 일 군졸 등이 세움]”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수사 황진문 선정비①의 비신 왼쪽 상단이 조금 파손되었지만, 전반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황진문 선정비는 지역사 복원에 도움이 되며, 수사의 업적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