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56
한자 洪汝漢墓碑
영어의미역 Tombstone of Hong Yeohan
이칭/별칭 가선대부 첨지중추부사 행김해도호부사 남양 홍공 휘여한지묘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명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묘비
관련인물 홍여한(洪汝漢)[1607~1662]|홍인석(洪仁錫)
재질
보수|복원 시기/일시 1916년연표보기 - 개축
보수|복원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개수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07년연표보기 - 홍여한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62년연표보기 - 홍여한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61년 - 홍여한 김해 부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62년연표보기 - 홍여한 김해 부사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김해 부사 홍여한(洪汝漢)을 기리기 위해 세운 묘비.

[건립 경위]

홍여한[1607~1662]은 『김해읍지』에 “현종 때 문과 급제하여 1661년(현종 2) 4월 김해 부사로 도임하여 1662년(현종 3) 2월 4일 관에서 세상을 떠났다. 녹산 범방리에 묘소가 있고 이로써 후손들이 범방에 많이 살게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홍여한 묘비(洪汝漢墓碑)는 1916년 홍여한의 9세손인 홍인석(洪仁錫)이 세웠고, 1989년 개수하였다.

[위치]

홍여한 묘비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범방 마을에 있다. 녹산교에서 김해 방향 6㎞ 지점에서 왼쪽 범방 마을로 접어들면, 진입로에서 1㎞ 지점에 위치한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가선대부 첨지중추부사 행김해도호부사 남양 홍공 휘여한지묘(嘉善大夫僉知中樞府事行金海都護府使南陽洪公諱汝漢之墓)’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다. “공의 휘는 여한(汝漢), 자는 도가(道可), 호는 모담(慕潭), 성은 홍씨, 관향은 남양(南陽)이다. 고려조에 삼중대광태수(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휘 홍은열(洪殷悅)이 그의 시조이다. 여러 대를 내려와 휘 홍언수(洪彦修)는 숭록대부로 판중추를 지냈는데, 홍공과는 5대 간이다. 증조부 휘 홍형노(洪亨老)는 대호군이었고, 조부 휘 홍잠(洪潛)은 문과를 거쳐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부친의 휘는 홍만복(洪蔓復)으로 가선대부에 추증되었고, 모친 정부인 의령 남씨는 남귀린(南貴麟)의 따님이다.

공은 현종 신축년 4월 3일 김해부에 부임하여 이듬해 임인년[1662] 2월 4일에 관사에서 죽었는데, 그 일이 읍지에 실려 있다. 묘소는 김해부 남면 범방리 뒷산 자좌(子坐) 언덕에 있다. 배필인 정부인 경주 신씨는 우후이었던 신국진(申國珍)의 따님으로, 묘소는 서쪽에 있다. 공은 2남을 두었는데, 홍명조(洪溟朝), 홍서조(洪瑞朝)이다. 손자는 홍흥(洪興), 홍창(洪昌), 홍욱(洪勗)이다. 증손 현손 아래로는 번거로워 모두 기록하지 않는다. 지금은 9세와 10세손이 있다.

아! 공이 그 시대에 다스린 업적 가운데 전할 만한 것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연대가 멀고 후손들이 부진해서 결국 인멸되고 말았으니 개탄스러운 일이다. 예전에도 작은 비갈(碑碣)이 있었으나 이끼에 글자가 잠식되었고, 백의 하나도 기록하지 못하였다. 이제 이 비석을 고쳐 세우기로 계획하고, 나에게 명문을 요구한 사람은 공의 9세손인 홍인석(洪仁錫)이다.

동향이 된 이곳 남쪽 고장은/ 강이 안아 돌고 산이 끼고 있다네. 나무하고 풀 뜯지 마라. 이곳은 대부의 무덤이니라. 병진년 입하 계절, 진사 김해 허채 짓다. 후학 밀양 박경훈 쓰다. 8세손 홍은제 삼가 발문하다. 강희 후 다섯 번째 기사년 3월에 개수하고, 홍은철 삼가 기록하다[公諱汝漢 字道可 號慕潭 姓洪氏 貫南陽 麗朝三重大匡太師諱殷悅 其肇祖也 累傳 至諱彦修 官崇祿大夫判中樞 於公間五世 曾祖諱亨老 大護軍 祖諱潛 文科官至江原道觀察使 禰諱蔓復 贈嘉善大夫 妣貞夫人宜寧南氏貴麟女 公以顯廟辛丑四月三日 莅金海府 明年壬寅二月四日 卒于官 事載在邑誌 墓在本府南面泛舫里後麓負子原 配貞夫人慶州申氏虞侯國珍女 酉兆焉 公有二男 曰溟朝·瑞朝 孫興昌勛 曾玄以下 繁不盡錄 今爲九世十世 噫 公之當日 宦業治績 想有所可傳者 而年代旣遠 晜孫且不振 竟湮沒焉 是可慨也 舊有短碣 而苔蝕字泐 百不記一 方圖改竪 要余銘者 公九世孫仁錫也 銘曰 桐鄕南戒 水抱山拱 俾無樵牧 大夫之冢 歲柔兆執徐立夏節 進士 金海 許 埰 撰 後學 密城 朴炯勳 書 八世孫 垠悌 謹跋 康熙五己巳三月 日 改修 垠哲 謹誌].”

[현황]

본래 세운 비석은 오랜 시간이 지나 마모되면서 판독이 불가능하여 공의 벼슬과 치적, 업적이 다 인멸되어 버려 9세손 홍인석이 다시 세웠다. 개수한 이후 사람들이 접근할 수 없게 막아 놓아 비석의 형태를 잘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홍여한 묘비홍여한의 이력과 남양 홍씨(南陽洪氏)의 가계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