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충국 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28
한자 李忠國墓
영어의미역 Tomb of Yi Chungguk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길 24-8[와여리 51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종봉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관련인물 이충국(李忠國)
봉분크기/묘역면적 69㎝[높이]|300㎝[가로]|350㎝[세로]
소유자 차성 이씨 문중
관리자 차성 이씨 문중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517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어모장군 이충국(李忠國)의 묘.

[개설]

이충국은 임진왜란 시기 동래·기장이 왜적의 침략으로 함락되었을 때 동래와 기장에서 창의(倡義)한 66명의 공신 중 한 명이다. 본관은 차성(車城)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전(李荃)이고, 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이호(李浩)이며, 아버지는 선략장군(宣略將軍) 이종문(李宗文)이고, 어머니는 알 수 없다. 부인은 밀양 손씨(密陽孫氏)로 묘는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중산의 언덕에 합사되어 있다. 아들은 네 명인데, 첨추(僉樞) 이정욱(李廷郁), 찰방 이정준(李廷峻)·이정복(李廷馥), 이정지(李廷芝)이다. 손자는 7명인데, 이여유(李汝裕)와 이여필(李汝苾)은 이정욱의 아들이고, 이여형(李汝馨)은 이정준의 아들이며, 이여주(李汝柱)·이여휘(李汝輝)·이여엽(李汝曄)은 이정복의 아들이고, 이여배(李汝培)는 이정지의 아들이다.

[위치]

이충국 묘(李忠國墓)기장군 철마면사무소와 철마초등학교 사이의 와여길을 따라 300m 정도 들어가 길옆에 위치한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517번지이다.

[형태]

묘에는 봉분과 비석이 함께 있다. 봉분은 높이 69㎝, 가로 300㎝, 세로 350㎝ 정도이다.

[금석문]

묘비는 ‘선무원종공신어모장군차성이공지묘(宣武原從功臣禦侮將軍車城李公之墓)’라고 적혀 있고,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선무원종공신어모장군차성이공묘갈명병서 …… 시칙유약육십육공신 창의어래기지문 이취허어외신지중 혹복병 혹기병 혹의병 ……공휘충국 기선차성인 개조어차성군 증조왈전, 조왈참봉호, 부왈선략장군종문, 비무전 공생졸무전 배밀양손씨지 장기장현서와여리 중산지원 부인부좌 남사인정욱첨추 정준정복찰방 정지 손칠인 여유여필욱출 여형준출 여주여휘여엽복출 여배지출 여가략야[宣武原從功臣禦侮將軍車城李公墓碣銘幷序 …… 時則有若六十六功臣 倡義於萊機之問 而吹噓於煨燼之中 或伏兵 或奇兵 或疑兵 ……公諱忠國 其先車城人 皆祖於車城君 曾祖曰荃, 祖曰參奉浩, 父曰宣略將軍宗文, 妣無傳 公生卒無傳 配密陽孫氏之 藏機張縣西瓦余里 中山之原 夫人祔左 男四人廷郁僉樞 廷峻廷馥察訪 廷芝 孫七人 汝裕汝苾郁出 汝馨峻出 汝柱汝輝汝曄馥出 汝培芝出 餘可略也].”

[현황]

와여리 유물 산포지(瓦餘里遺物散布地)에 조선 시대 민묘가 있는데, 이충국 묘는 가장 아래 남쪽에 있다.

[의의와 평가]

이충국은 이제까지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와 군·면지 등에 실리지 않아 알려지지 않았는데, 묘를 통해 인물의 임진왜란 시기 활동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