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122 |
---|---|
한자 | 趙泰東善政不忘碑 |
영어의미역 | Stone Monument for Honoring the Virtue of Jo Taedong |
이칭/별칭 | 부사 조공태동 선정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3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장명희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조태동(趙泰東)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조태동[1649~1712]은 동래 부사로 1698년(숙종 24) 부임하여 1699년(숙종 25) 병으로 사직하였다. 조태동 선정불망비(趙泰東善政不忘碑)는 조태동이 사직한 뒤 1701년(숙종 27) 9월 주민들이 세웠으며, 150년 후인 1847년(헌종 13) 6세손 조휘림(趙徽林)이 중수하였다고 전한다.
[위치]
조태동 선정불망비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31번지 금강 공원 내에 있다. 원래 안락동사무소 앞에 있던 것을 금강 공원 내로 이전해 동래 부사 선정비군 20기와 함께 보존하고 있다.
[형태]
민머리 형태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94㎝, 너비 47㎝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부사 조공태동 선정비(府使趙公泰東善政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인자함이 깊어 세금을 덜어 주었고/ 교화 이루어 학문을 일으켰네. 남기신 은혜 떠나가도 생각나니/ 길이 천억 년을 가리라. 공은 강희 무인년[1698]에 부임하여 기묘년[1699]에 바뀌어 [다른 곳으로] 돌아가셨고, 읍 사람들이 비석을 세웠다. 150년 후인 정미년[1847]에 6세손 조휘림이 이 부(府)를 지키게 되어 옛글을 비석에 세워 고쳐 새기고 비각을 중수하였다[仁深蠲稅 化成興學 去思遺愛 其永千億 公康熙戊寅莅任 己卯遞歸 邑人竪碑 後百五十年丁未 六世孫徽林 忝守本府 仍舊改刻 重修碑閣]”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강희 40년 신사년[1701] 9월 일 세움. 정미년 9월 일, 감동 향청 김□, 이방 조인혁, 향 이만제·이명노·문두심, 석수 승 응묵[康熙四十年辛巳 九月 日立 丁未九月 日 監董 鄕廳 金□ 吏房 趙仁赫 鄕 李萬齊 李命老 文斗心 石手 僧應默]”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금강 공원에서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조태동 선정불망비는 조선 후기 지역 주민 삶에 절실한 당면 요구가 무엇이었던가를 알게 해 주는 소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