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장인식 영세불망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95
한자 張寅植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Janginsik
이칭/별칭 수상국 장공인식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정공단로 23[좌천동 47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명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장인식(張寅植)[1802~?]
재질
크기 101㎝[높이]|36㎝[너비]|13㎝[두께]
건립 시기/일시 1857년 7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02년연표보기 - 장인식 출생
현 소재지 정공단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47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좌수사 장인식(張寅植)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장인식 영세불망비(張寅植永世不忘碑)는 1857년(철종 8) 7월 개운진 군졸들이 장인식[1802~?]의 선정을 기려 세웠다.

[위치]

장인식 영세불망비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473번지 정공단(鄭公壇) 내에 있다.

[형태]

석비로 이수(螭首)는 보주와 양쪽에 돌출된 소용돌이 모양의 장식이 두 개씩 달려 있다. 이수 안에 화문 인화문(花紋印花紋)이 있다. 하대석이 있으며, 비문의 글씨는 해서체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01㎝, 너비 36㎝, 두께 13㎝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수상국 장공인식 영세불망비(水相國張公寅植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변방을 구휼하여 방비를 고르게 하였고/ 강한 자 누르고 약한 자 부축하였으니/ 은혜는 산처럼 무거워라. 그 덕을 돌에 새겨 오래도록 남긴다[恤邊調防 茹强扶弱 恩重如山 悳壽于石]”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정사 칠월 일 개운진 졸 립. 감역 박중형, 색 김정순[丁巳 七月 日 開雲鎭卒 立 監役 朴重亨 色 金井洵]”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정공단 내에 위치한 총 16기의 비석 중 1기이다.

[의의와 평가]

장인식 영세불망비는 조선 후기 동래부의 군사적 기능의 중요성을 알게 해 주는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