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종순 영세불망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68
한자 李鍾順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Yi Jongsun
이칭/별칭 수사 이공종순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훈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비|불망비
관련인물 비|불망비
크기 비|불망비
관리자 비|불망비
건립 시기/일시 1890년 6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9년 2월연표보기 - 이종순 경상 좌수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90년 3월연표보기 - 이종순 경상 좌수사 퇴임
현 소재지 수영 사적 공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개항기 경상 좌수사 이종순(李鍾順)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이종순은 1889년(고종 26) 2월부터 1890년(고종 27) 3월까지 경상 좌수사로 재직하였는데, 군수(軍需) 및 포대·둔전의 정비 등 관방을 튼튼히 한 공로를 기려 1890년 6월 이종순 영세불망비(李鍾順永世不忘碑)를 세웠다.

[위치]

이종순 영세불망비수영 사적 공원의 남쪽 언덕 아래 정비해 놓은 수사비군 중 1기로 보호되고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이다.

[형태]

석비이며, 이수(螭首)는 없다. 비신(碑身)은 장방형이며 상단 모서리를 깎아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었다. 대석(臺石)은 현재 위치로 옮기면서 새롭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비신의 상단에는 깨진 흔적이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32㎝, 너비 54㎝, 두께 23㎝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수상 이공종순 영세불망비(水相李公鍾順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천리 먼 곳 낮은 데 맡으셔서/ 한마음으로 충성을 다하셨네/ 군수 장비를 극진하게 살피고/ 포대 둔전을 다시 확장하였다/ 빌미를 돌려 웃음거리로 만드시고/ 재앙을 돌려 상서로운 것으로 만들었다/ 공의 은혜는 영원히 젖어들어/ 돌처럼 오래가리라[千里委卑 一念忠良 軍需克軫 礮屯更張 回兆作笑 轉災爲祥 公恩永洽 石壽同長]”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광서 16년 경인년[1890] 6월 일에 세움[光緖十六年庚寅 六月 日 立]”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종순 영세불망비는 조선 시대의 동남 지역 관방을 담당한 경상 좌수영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