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규현 만고불망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39
한자 李奎鉉萬古不忘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Yi Gyuhyeon
이칭/별칭 부사 이공규현 만고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오인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이규현(李奎鉉)
재질 석재
크기 156㎝[높이]|56㎝[너비]|195㎝[두께]
건립 시기/일시 1824년 10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22년연표보기 - 이규현 동래 부사 부임
현 소재지 수영 사적 공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이규현(李奎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이규현은 1822년(순조 21) 동래 부사로 부임하였다. 이규현 만고불망비(李奎鉉萬古不忘碑)는 1824년(순조 24) 10월 경상 좌수영 인근 주민이 좌수영 어민의 실정을 잘 살핀 이규현의 공덕에 대한 감사로 세웠다.

[위치]

이규현 만고불망비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에 있는 수영 사적 공원에 있다.

[형태]

비석 머리는 사각이며 받침대가 있다. 머릿돌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비석의 앞면에는 제액을 새겼고, 뒷면에는 비석을 세운 사연과 날짜 및 관련 인물의 직책과 성명을 적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56㎝, 너비 56㎝, 두께 195㎝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부사 이공 규현 만고불망비(府使李公奎鉉萬古不忘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다. “□□□사면의 해민(海民)들의 폐단과 고질이 쌓여 □□□하였다. □년 전보다 여러 배로 어공(魚供)을 거두니 비단 □□□일 뿐만 아니라, 쇠노 끝보다 심하였다. 다행히 부사 이규현 공의 은혜로 우리들의 □□ 상처를 불쌍히 여겨 순상(巡相)에게 보고하고 □□□를 조사하여 4,500냥의 돈을 청구하여 잘못을 바로잡는 방편으로 삼았다.

700냥은 □로 먼저 주어 급한 일에 쓰게 하고, 800냥은 5년 동안 이자를 취하여 감영의 본전을 갚도록 하고, 원전은 해사면(海四面)에 맡겨 길이 폐단을 방지할 자금으로 삼고, 동 원전을 말에 싣고 와서 각 항의 결손과 □도 스스로 감당하게 하였다. 이후부터는 표차왜(漂差倭)[표인 영래 차왜(漂人領來差倭). 표류하여 일본으로 들어가게 된 우리나라 사람들을 인솔해서 데리고 오는 왜인]가 오는 경우가 있으면 그곳에서 곧바로 용을 내는 것으로 말을 만들어 비변사에 보고하였다. 영원히 폐단을 고쳐 주셨으니, 은혜가 산처럼 무겁다. 반석에 글을 새기니, □□하도다.

숭정 기원 후 네 번째 갑신[1824] 10월 일 해사면 세움. 도감 김석린, 유사 김종연[□□□四面海民 弊痼層□□□ □年□前倍蓰 收斂魚供 非徒□□□爲罄渴 浮於弩末 幸賴明府李公奎鉉 憐我□□之傷 論報巡相 査□□□ 請錢四千五百兩 爲矯捄之方 七百兩爲先□給 用下急務 八百兩取五年殖報營 本錢元錢 仍付海四面 永爲防弊之資 同錢駄來 各項欠□亦自當 後有漂差倭 自其處直送 事措報備局 永革大弊恩重如山 勒銘盤石 □□哉 崇禎 紀元後 四甲申 十月 日 海四面 立 都監 金錫麟 有司 金宗連].”

[의의와 평가]

전국적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19세기 지방관의 송덕비이지만, 이규현 만고불망비는 좌수영 인근의 바닷가 주민들이 세운 것으로 송덕의 내용을 매우 구체적으로 기재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형식화된 지방관 송덕비와는 구별되는 유형이라는 점, 해당 내용에서 일정 부분 지방사 사료를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부산 금석문』(부산광역시·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8.02 연도 오탈자 수정 1821년 -> 1822년
이용자 의견
양** 동래부사 이규현은 1822년(순조 22)에 동래로 옵니다. 1871년 동래부읍지 선생안 참조하시면 됩니다. 1821년은 아직 앞의 동래부사인 이덕현이 재임하고 있을 때입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오탈자를 수정하였습니다.
    의견 개진에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8.08.0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