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33
한자 李敬佑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Yi Gyeongwoo
이칭/별칭 군수 이공경우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연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이경우(李敬佑)|정기룡(鄭基龍)|정광진(鄭光震)|최익화(崔翊和)
크기 비신 114㎝[높이]|41㎝[너비]|16㎝[두께]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896년 9월연표보기 -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04년 3월 25일 -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95년 5월연표보기 - 이경우 기장 군수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97년 9월연표보기 - 이경우 기장 군수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개항기 기장 군수 이경우(李敬佑)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1895년(고종 32) 5월부터 1897년(고종 34) 9월까지 기장 군수를 역임한 이경우의 공적을 기려 재임 시절인 1896년(고종 33) 9월 향장(鄕長) 정기룡(鄭基龍), 도감(都監) 정광진(鄭光震), 색리(色吏) 최익화(崔翊和) 등이 주도하여 이경우 영세불망비(李敬佑永世不忘碑)를 세웠다.

[위치]

이경우 영세불망비는 원 소재지는 알 수 없으며, 지금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번지에 있다. 1973년 2월 다른 비석들과 함께 기장초등학교 앞인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306-2번지로 옮겼다가, 도로 개설 공사로 2004년 3월 25일 지금 장소로 다시 옮겼다.

[형태]

이수(螭首)에는 양쪽으로 돌출된 소용돌이 모양 장식이 2개씩 있다. 이수 전면에는 굵은 테두리를 두른 액자형 틀에 동심원 무늬와 6개의 초승달 무늬를 새겼다. 이수 꼭대기에는 보주형(寶珠形) 장식이 달려 있다. 비문은 해서체이며 비신의 크기는 세로 114㎝, 가로 41㎝, 두께 16㎝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군수 이공경우 영세불망비(郡守李公敬佑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그릇된 일 혁신하여 세금을 줄이니/ 온 고을 경내가 편안히 지냈다네/ 교화가 이루어져 학교를 일으키고/ 은택이 두루 미쳐 제방을 완성하였네/ 자금을 출연하여 부채를 없애니/ 크나큰 재능으로 작은 고을 다스렸네/ 이루신 은덕을 이 돌에 새겨 두니/ 태산과 북두처럼 높고도 밝다네[振刷蠲斂 一境晏兮 化臻興塾 澤及完堤 損金貸捷 用刀割鷄 立德是石 山斗與齊]”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병신 구월 일 향장 정기용, 도감 정광진, 색리 최익화(丙申九月 日 鄕長 鄭基龍 都監 鄭光震 色吏 崔翊和)”라고 되어 있다.

[현황]

기장 지역 곳곳에 흩어져 있던 각종 선정비 36기를 기장읍성 동문 터 앞에 모아서 관리하고 있는데, 이경우 영세불망비도 기장 공덕비군 중 하나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이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이경우 영세불망비는 지역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