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19
한자 柳德玉愛民善政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Yu Deokok’s Exemplary Government
이칭/별칭 부사 가선대부 유공덕옥 애민선정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대로 1476[죽림동 716-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상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선정비
양식 민머리 비석
관련인물 유덕옥(柳德玉)
재질 황갈색 화강암
크기 105㎝[높이]|58㎝[너비]|14㎝[두께]
소유자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건립 시기/일시 1702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인물생년시기/일시 1653년연표보기 - 유덕옥 출생
관련인물몰년시기/일시 1711년연표보기 - 유덕옥 사망
관련사항 시기/일시 1700년 8월 24일 - 유덕옥 김해 부사 부임
현 소재지 가락동 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16-3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에 있는 조선 후기 김해 부사 유덕옥(柳德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유덕옥[1653~1711]은 숙종의 시위(侍衛)로 1700년(숙종 26) 8월 24일 김해 부사로 부임하여 가락동에 사람들이 들어와 살 수 있도록 선정을 베풀어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1702년(숙종 28) 마을 사람들이 비를 세웠다.

[위치]

유덕옥 애민선정비(柳德玉愛民善政碑)는 본래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대변창 옆에 있었으나 후에 죽림동 716-3번지 가락동 주민센터로 이전하였다.

[형태]

비의 재질은 황갈색 화강암이며, 민머리 형태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05㎝, 너비 58㎝, 두께 14㎝이다.

[금석문]

비문은 “부사 가선대부 유공덕옥 애민선정비 강희 사십일년 정월 일(府使嘉善大夫柳公德玉愛民善政碑 康熙 四十一年 正月 日)[부사 가선대부 유덕옥 공이 백성을 사랑한 선정비 1702년(강희 41) 정월 일]”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주민센터 앞에 가락대부교비(駕洛大夫橋碑)와 나란히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유덕옥 애민선정비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에 처음으로 백성들이 살게 된 계기를 기록한 중요한 지역사 자료이며, 당시 이곳의 현황을 알 수 있는 문화재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