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993 |
---|---|
한자 | 申應周千秋萬歲流傳不忘碑 |
영어의미역 | Stone Monument for the Eternal Remembrance of Sin Eungju |
이칭/별칭 | 수사 신응주 천추만세유전불망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은정 |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좌수사 신응주(申應周)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신응주[1747~?]는 1780년(정조 4) 정월 30일 절충장군으로 동래부에 부임하였다가 동래 부사 이문원과 다투어 1780년 9월 8일 파면되었다. 비는 동래 주민들이 성곽을 굳게 지키고 충성심이 강하였던 신응주를 칭송하기 위해 1782년(정조 6) 세웠다.
[위치]
신응주 천추만세유전불망비(申應周千秋萬歲流傳不忘碑)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 수영 사적 공원 내에 세워져 있다.
[형태]
이수(螭首)는 없고, 직사각형 형태로 관석과 가첨석(加簷石)[성돌이나 빗돌 위에 덮어 얹는 지붕 모양의 돌]이 있었던 흔적이 보인다. 현재는 비신(碑身)의 중단부가 파손되어 시멘트로 보수하였다. 좌우 측면에는 21×6㎝ 크기의 직사각형 홈을 시멘트로 메워 놓았다. 비의 크기는 높이 141.5㎝, 너비 55㎝, 두께 19㎝이다.
[금석문]
비의 제목은 ‘수사 신응주 천추만세유전불망비(水使申應周千秋萬歲流傳不忘碑)’이며 “변방의 성곽을 굳게 지키고 나라에 충성이 지극하였다/ 우리 수사님의 덕은 석종유 생겨남일세/ 배를 타는 군사 답답함 풀어 주니/ 성대하구나 위대한 아버지로다/ 공로를 돌에 새기려 하니 노인들 모두 받들어 칭송하네. 건륭 47년 임인 월 일[邊城固禦 至矣邦忠 我使之德 石鐘乳生 船師解鬱 盛兮牟父 功將被石 耊艾咸戴 乾隆 四十七年 壬寅 月 日]”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신응주 천추만세유전불망비는 수영 사적 공원 내 비석군에 자리하고 있다. 수영 사적 공원이 소유하여 관리를 하고 있으며,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신응주 천추만세유전불망비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는 신응주의 행적을 알 수 있어 지역사 복원에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