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988 |
---|---|
한자 | 宋載愚恤民善政碑 |
영어의미역 | Stone Monument for Song Jaeu’s Exemplary Administration of Relieving the People’s Sufferings |
이칭/별칭 | 현감 송공재우 휼민선정 만고불망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509-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신명호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기장 현감 송재우(宋載愚)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의하면 송재우는 1751년(영조 27) 7월 26일 기장 현감으로 임명되었다. 송재우는 10여 일 후인 8월 9일 기장으로 떠나기 전 하직 인사를 올리기 위해 영조를 만났다. 영조는 그 자리에서 먼저 송재우에게 수령칠사(守令七事)에 대해 물었다. 송재우가 대답하자 다시 “기장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하고 물었다. 이에 송재우는 “출신한 지 30년이 되었지만 나라에 보답하지 못했습니다.
이제 기장 현감에 제수되었으니 신은 마음을 다하여 일하겠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영조는 “생각이 이미 반을 넘었다”라고 한 후 얼굴을 들게 하였다. 송재우의 얼굴을 본 영조는 “용맹한 무인이로다”라고 하였다. 송재우는 부임한 지 2년쯤 후인 1753년(영조 29) 6월에 교체되었다. 비는 송재우가 교체된 지 4개월 만인 1753년 10월 선정을 기려 세웠다.
[위치]
송재우 휼민선정비(宋載愚恤民善政碑)는 부산광역시 장안면 기룡리 마을 전체를 관통하는 기룡천변에 위치하며, 마을 어귀 신솔배기라고 불리는 소나무 숲에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509-3번지이다.
[형태]
몸돌과 받침돌로만 간단하게 만들어진 비석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50㎝, 너비 50㎝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현감 송공재우 휼민 선정 만고 불망(縣監宋公載遇恤民善政萬古不忘)[기장 현감 송재우 휼민선정만고불망비]’이라고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숭정 기원 후 삼 계유 시월 일 입(崇禎紀元後三癸酉十月日立)[숭정 기원 후 세 번째 계유년 10월 일 세우다]”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송재우 휼민선정비는 훼손된 부분이 거의 없이 잘 보존되어 있다. 부산광역시에서 소유하여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송재우 휼민선정비는 18세기 기장 현감으로 재직한 송재우의 선정을 알려 주는 금석문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