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966 |
---|---|
한자 | 裵常起刱塾奬學碑 |
영어의미역 | Stone Monument Honoring Bae Sanggi’s Promotion of Learning |
이칭/별칭 | 통정대부 배공상기 창숙장학비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월내리 139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강대민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월내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보부상 반수 배상기(裵常起)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대한제국 말 동래 지역 보부상 조직의 반수(班首)이던 배상기는 전 재산을 출연하여 장학 사업과 빈민을 돕는 휼민 사업을 펼쳤다. 1895년(고종 32) 큰 흉년이 들자 월내와 좌천 시장에 장날마다 대형 가마솥을 내걸고 배고픈 사람에게 무상으로 죽을 제공해 1만 명의 기장군민을 구휼하였다. 비는 배상기를 기리는 3개의 비 가운데 하나로, 1917년 감동(監董) 추두고(秋斗高)·김채수(金埰洙)·주재호(朱在昊)·장수주(張守珠) 등이 배상기의 장학 사업을 기려 세웠다.
[위치]
배상기 창숙장학비(裵常起刱塾奬學碑)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 139번지 월내역 앞 주택가 사이에 다른 비석과 함께 있다. 작은 전각도 세워져 있다.
[형태]
비의 재질은 화강암으로 비대(碑臺) 및 가첨석(加檐石)은 없고, 비석의 양쪽 윗부분을 비스듬히 깎았다. 이 외 특이점은 없는 단순한 형태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25㎝, 너비 45㎝, 두께 16㎝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통정대부 배공상기 창숙장학비(通政大夫裵公常起刱塾獎學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재화를 트이고 의연금 내놓으니 은덕이 우리 학생에게 이르렀도다. 춘추로 매번 책 읽고 외는 소리 골목마다 여기저기 들려온다네[疎財捐義 惠及我蒙 春秋絃誦 里巷西東]”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정사년[1917] 5월 25일 세우다. 감동 추두고·김채수·주재호·장수주[丁巳年五月二十五日立 監董 秋斗高 金埰洙 朱在昊 張守珠]”라고 되어 있다.
[현황]
배상기를 기리는 배상기 창숙장학비를 비롯하여 배상기 창계휼리비(裵常起刱契恤里碑), 배상기 휼상 영세불망비(裵常起恤商永世不忘碑) 등 3개의 비가 같은 장소에 있어서 배상기의 업적을 기리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에서 소유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배상기는 대한제국 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격동기를 살았던 거상(巨商)으로, 활발한 활동에 비하면 소외된 점이 있다. 배상기라는 인물이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비의 존재를 더욱 알릴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