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61
한자 朴英出墓
영어의미역 Tomb of Bak Yeongchul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786-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선석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양식 원형 봉토분
관련인물 박영출(朴英出)[1908~1938]
봉분크기/묘역면적 4m[봉분 지름]
소유자 개인
관리자 개인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908년연표보기 - 박영출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938년연표보기 - 박영출 순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박영출 대한민국 건국 훈장 추서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산69-9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기장 출신 애국 지사 박영출(朴英出)의 묘.

[개설]

박영출[1908~1938]은 자는 현출(炫出)이고, 호는 정인(盯仁)이다. 1908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서 태어났다. 1925년 동래고등보통학교 졸업반 재학 중 일제의 교육 정책에 반대하는 동맹 휴학을 주도하여 촛불 시위를 하다가 퇴학을 당하였다. 1927년 일본에 유학하여 야마구치고등학교[山口高等學校]에 다니다가 방학 중 귀국하여 동래 수안동에서 열린 귀국 유학생 연설회에서 항일 연설을 하였고, 1934년 일본 교토제국대학[京都帝國大學] 졸업 후 서울에서 조선청년광복단을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전개하다가 1934년 체포되어 서울지방법원에서 4년형을 선고받고 대전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38년 순국하였다. 1977년 대한민국 건국 훈장이 추서(追敍)되었다.

[위치]

박영출 묘(朴英出墓)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무곡 마을차성동로 20번길차성남로 96번길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남로 쪽으로 10m 정도 떨어진 언덕 끝 부분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2기의 묘가 있는데, 그중 오른쪽의 무덤이다. 무덤 뒤쪽에는 동해 남부선이 지난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산69-9이다.

[변천]

1984년 국가보훈처에서 양산 지역의 독립 유공자의 유적을 정화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일제 강점기 박영출의 애국 활동을 기리기 위해 애국 지사 사업 기금과 양산군의 보조 기금으로 묘역을 단장하고 묘비를 세웠다.

[형태]

묘는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이 4m 정도이며, 상석(床石)이 갖추어져 있다. 앞에 국가보훈처와 양산군에서 기금으로 건립한 묘비가 세워져 있다. 비의 재질은 오석(烏石)이며, 크기는 높이 118㎝, 너비 36㎝, 두께 22㎝이다. 지붕돌[가첨석(加檐石)]과 받침돌[대석(臺石)]을 갖추고 있다.

[금석문]

비에는 ‘애국 지사 박영출지묘(愛國志士朴英出之墓)[애국 지사 박영출의 묘]’라고 적혀 있다.

[현황]

묘의 주변이 잘 정리되어 있고, 뒤쪽으로 소나무가 심어져 있다. 묘 주변은 밭이며, 철길 사이에 보호 철책이 있다.

[의의와 평가]

기장 지역은 개항기에 근대 교육 운동이 활발하여 일제 강점기 전후에 애국 지사가 많이 배출되었다. 박영출도 그중 한 사람으로, 국내와 일본에서의 애국 학생 운동과 본격적인 항일 운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6.10.21 묘 주소 수정 주소 수정(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산69-9 -> 청강리 786-3)
2016.10.21 주소 수정 취소 원래 내용 복구(청강리 786-3 -> 청강리 산69-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