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39
한자 武谷-
영어의미역 Mugok Village
이칭/별칭 무실(武室)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무곡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태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기장군 읍내면 무곡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기장면 청강리의 무곡 마을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무곡 마을이 됨
자연 마을 무곡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무곡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무곡(武谷)의 옛 이름은 무실(武室)이다. 무실은 무곡과 같은 한자 표기이다. 지명의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고, 오히려 무실이라는 지명에서 이곳에 무영(武營)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형성 및 변천]

무곡 마을은 인근에 고분군이 있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지닌 마을임을 알 수 있으나, 그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읍내면 청강리로 나타나며, 1895년(고종 32) 동래부(東萊府) 기장군 읍내면 청강리에서 무곡리로 분리되며 처음 지명이 확인된다. 1914년 동래군에 귀속되며 청강리와 병합하여 기장면 청강리 무곡 마을이 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무곡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서쪽은 양달산[286m]에서 뻗은 산지가, 동쪽에는 연화봉[154m]에서 뻗은 산지가 있으며, 남쪽으로는 동서의 두 산지가 이어진 산줄기가 있다. 마을은 동서의 두 산지 사이 좁은 평지에 자리하며, 남쪽 산지에서 흘러내린 소하천이 북쪽의 평지를 지나 청강천으로 유입한다. 마을은 북쪽을 제외한 세 방향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서쪽 산지에는 철마면 안평리로 가는 몰고부 또는 말고부라고 불리는 고개[가팔라서 말을 타고 가다가 굴러 떨어졌다고 붙여진 이름]가 있고, 동남쪽에는 연화리로 가는 여르개 고개가 있다. 마을의 서남쪽 산지에 개방우라는 바위가 있다.

[현황]

청강리 580번지 일대로, 덕발 마을의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의 서쪽 산지로는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가 통과하며, 동쪽 산지 쪽으로는 기장 대로가 지나가고, 두 산지 사이로 차성로동해 남부선 철도가 관통하고 있다.

본래 주민의 9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였는데, 마을의 좁은 평지와 구릉지가 도로와 철도 부지에 포함되며 일부 논밭을 잃었다. 차성로무곡 마을 가운데로 관통하며 현재는 윗동네와 아랫동네로 구분되어 있다. 마을 남쪽의 에스파크 승마 클럽 인근에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버스 공영 주차장’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기장 대로에는 주민의 편의를 위해 경운기 전용 도로가 마련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