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39
한자 金鶴鎭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Gim hakjin
이칭/별칭 부사 김공학진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7-67[온천동 산17-7]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심민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김학진(金鶴鎭)
재질 석재
크기 155㎝[높이]|50㎝[너비]|19㎝[두께]
건립 시기/일시 1892년 6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38년 4월 3일연표보기 - 김학진 출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5년 6월연표보기 - 김학진 동래 부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7년 윤4월 16일연표보기 - 김학진 동래 부사 이임
현 소재지 금강 공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433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금강 공원에 있는 개항기 동래 부사 김학진(金鶴鎭)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1885년(고종 22) 6월 동래 부사로 부임하여 1887년(고종 24) 윤4월 16일 퇴임한 부사 김학진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1892년 6월에 비를 세웠다.

[위치]

김학진 영세불망비(金鶴鎭永世不忘碑)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번지 금강 공원 내의 임진 동래 의총으로 진입하는 길 오른쪽에 있는 동래 부사 선정비군에 있다. 20기 가운데 하나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433번지 안락동사무소 앞에 있던 것을 옮겨 놓았다.

[형태]

이수(螭首)는 가첨석(加檐石)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비문의 글씨는 비교적 크게 음각되어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55㎝, 너비 50㎝, 두께 19㎝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부사 김공학진 영세불망비(府使金公鶴鎭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남쪽 땅으로 출진하여, 북쪽 궁궐을 우러러보았네/ 수만금을 마련하시어, 수많은 사람들을 살려 내시었도다/ 둔전의 소는 들에 널려 있고, 풍년 이룬 곡식은 곳간에 가득하네/ 삼 년 동안 공적을 드리우니, 칭송하는 소리가 천년을 가리라[出鎭南服 瞻依北宸 辦數萬鏹 活千百人 屯牛散野 豊稌盈囷 績著三載 頌播仟春]”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광서 18년 임진년 유월 일 각 면에서 세움. 감동 시향수 정시민, 좌수 박전해, 수성중군 신명록, 이방 이상욱, 호장 윤호용[光緖 十八年壬辰 六月 日 各面竪 監董 時鄕首 鄭始民 座首 朴銓海 守城中軍 辛明錄 吏房 李相旭 戶長 尹浩鎔]”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마모가 심하지 않는 등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금강 공원임진 동래 의총 유적 및 다른 부사들의 선정비와 같이 모여 있어 찾기 쉽다.

[의의와 평가]

금강 공원에 여러 선정비를 한곳에 모아 놓아 서로 비교 대조하기 쉬운 장점은 있으나, 원래 위치에서 옮겨 놓은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 같은 공간에 있는 임진 동래 의총은 안내 설명문이 따로 있는 반면, 이 선정비군에 대한 설명은 없는 실정이다. 간단한 제목과 원래 위치 등을 알 수 있게 해 주면 좋을 듯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