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23
한자 金聖賚撫恤海氓善政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Exemplary Administration of Gim Seongroe
이칭/별칭 행 현감 김공 성뢰 무휼해맹선정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훈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선정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김성뢰(金聖賚)
크기 109㎝[높이]|48㎝[너비]|15.5㎝[두께]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729년 4월연표보기 - 김성뢰 무휼해맹선정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04년 - 기장군 일대에 흩어져 있던 공덕비를 현재의 장소로 옮겨 공덕비군 조성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60년연표보기 - 김성뢰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732년연표보기 - 김성뢰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27년연표보기 - 김성뢰 기장 현감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29년연표보기 - 김성뢰 기장 현감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기장 현감 김성뢰(金聖賚)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1727년(영조 3)에서 1729년(영조 5)까지 기장 현감을 지낸 김성뢰[1660~1732]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1729년 4월 김성뢰 무휼해맹 선정비(金聖賚撫恤海氓善政碑)가 건립되었다.

[위치]

김성뢰 무휼해맹선정비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85-7번지 기장읍성 동문 터 앞에 있다. 2004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대에 흩어져 있던 공덕비를 현재의 장소로 옮겨 공덕비군을 조성할 때 함께 옮겨 놓았다.

[형태]

비의 재질은 돌이며, 비신(碑身)의 크기는 높이 109㎝, 너비 48㎝, 두께 15.5㎝이다. 이수(螭首)는 둥근 반원형이며 좌우에 나선무늬가 음각된 원이 두 개씩 있고, 꼭대기에는 보주(寶珠)가 있다. 이수의 앞면에는 연꽃과 연잎을 음각선으로 새겼다. 대석(臺石)은 지금의 위치로 옮길 때 새로 만든 것이다.

[금석문]

비의 제목은 ‘행현감 김공성뢰 무휼해맹선정비(行縣監金公聖賚撫恤海氓善政碑)’이며, 뒷면에는 ‘옹정 칠년 사월일(雍正七年四月日)[옹정 7년은 1729년임]’이라고 적혀 있다.

[의의와 평가]

김성뢰 무휼해맹선정비는 기장 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어업에 관한 시책이 많았음을 보여 주는 자료이며, 또한 기장 현감으로 재직한 역대 지방관의 행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